민선 8기 울산시,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포기
2022-09-19 이춘봉
18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시장은 최근 열린 기자단 간담회를 비롯해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신속 추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피력하고 있다. 김 시장은 에너지 수급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아직은 때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런 바탕에는 투자 대비 효율이 낮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현재 수준의 기술력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적지 않은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전기료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시장은 민간투자사들의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되면 결국 사업자만 이득을 볼 뿐, 전기료 부담으로 국부 유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 시장은 시일이 지나 관련 기술이 발전되면 투자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투자액이 감소하면 민간투자사에 지급해야 하는 전기료도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기술이 검증된 뒤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시장은 오는 23일께 이채익 국회의원의 대정부 질의와 올 연말 수립 예정인 제10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을 통해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추진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확인한 뒤 정부의 계획에 따라 사업의 속도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민선 7기 시의 기조를 탈피한다는 방침은 명확히 하고 있다. 민선 7기 시는 민간투자사를 선제적으로 유치해 울산이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을 주도해 정부의 정책적 보조를 이끌어 냈지만 이 방식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종합 지원 콤플렉스 조성 사업의 지속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이 사업은 국비 149억2000만원과 시비 145억원 등 294억2000만원을 투입해 연구소와 실증시험센터, 안전훈련센터, 관제센터, 부품지원센터 등을 설치하는 게 목표다.
지난 2021년 공모에 선정돼 1차년도 국비 29억8000만원을 이미 확보했고, 올해 국비 42억3000만원도 곧 받게 된다.
지금은 부지를 물색 중이어서 실제로 집행된 예산은 아직 없다. 시 담당 부서는 내년도 착공을 위해 관련 시비를 신청했지만 김 시장이 부정적 기조를 보이고 있어 실제로 예산이 편성될지는 미지수다.
울산시 관계자는 “아직 사업 추진에 대한 명확한 방침은 잡히지 않았다”고 밝힘에 따라 내년 시비 편성이 불발되면 확보한 국비를 반납하고 사업을 백지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