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기업 생산비용 8.7% 증가, 2009년 이후 최대…임금인상 등 영향

2022-09-22     이형중
올해 상반기 기업들의 생산활동에 들어가는 비용이 임금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 고환율 등 영향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씽크탱크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가 21일 발표한 ‘기업 생산비용 증가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 산업 생산비용은 작년보다 8.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생산비용은 기업이 생산 활동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으로, 생산비용 증가율은 원자재와 환율, 임금 등 주요 구성요소의 전년 대비 변동률을 반영해 집계된다. 올해 상반기 생산비용 증가율은 2009년(10.8%) 이후 최대치였고, 지난 10년간(2011~2021년) 전 산업 생산비용 증가율 평균(1.9%)의 4.6배 수준이었다.

올해 상반기 생산비용 증가율(8.7%) 중 구성요소별 기여도는 임금인상이 3.2%p로 가장 컸고, 원자재 가격상승(3.0%p), 고환율(2.5%p) 순이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 생산비용 증가율(10.6%)이 서비스업(6.6%)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이 생산 과정에서 수입 원자재를 대거 투입하기 때문에 국제유가와 광물 가격, 환율 변동에 서비스업보다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기업 생산비용 급증에 대응해 생산요소별 맞춤 대응책 수립과 민관 위험관리 대응체계 구축, 기업 생산성 향상 지원, 에너지 가격 변화에 강한 산업기반 구축 등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석현주기자·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