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겸 울산시장, 민선7기 임명 기관장 자진사퇴 촉구

2022-10-07     이춘봉
김두겸 울산시장이 민선 7기 막바지에 임명됐던 공공기관장들의 자진 사퇴를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특혜의혹이 일더라도 기업을 적극 지원할 것임을 밝혔다. 다만 대학유치와 관련해서는 현실성을 고려해 이뤄나갈 것이라고 강약조절 입장을 밝혔다.

김두겸 시장은 6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취임 100일 기자 간담회를 가졌다.

김 시장은 공공기관 구조조정에 대한 질문에 “이전 정부 당시 있었던 블랙리스트 사건만 없었으면 관례상 교체했을 것”이라며 “정치적 논리 때문에 블랙리스트가 생기고 사법 처리가 뒤따르면서 곤란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전 정권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들이 자리를 지키는 데 대해 대통령은 바뀌었는데 정부는 바뀌지 않았다고 표현했다. 이어 국민과 밀접한 기관의 장들이 교체되지 않으면서 뿌리부터 여론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시장은 “울산만 해도 (전임 민선 7기)낙하산 인사들이 많은데 거기서 여론을 형성해서 중앙까지 가야 하는데 부적격 여론이 형성된다”며 “그분들도 전문성을 나름대로 갖고 있지만 운영하는 방향이 다르지 않나”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기가 도래할 때까지는 인위적으로 할 수 없는 입장이라 답답하다. 내년부터 일을 좀 하려고 하는데 받쳐줘야 할 뿌리들이 답답한 부분이 있다”며 “그분들이 큰 결심을 자발적으로 해 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김 시장은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관련해서는 기업에 대한 특혜 의혹이 일더라도 일자리 창출 위해 과감하게 혜택을 주겠다고 강조했다. 또 현대모비스의 예를 들며 2025년까지 2만5000~3만평 규모의 부지를 요청하고 있는데, 시간 많이 걸리는 만큼 공사와 허가를 동시에 진행해 기간을 단축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시장은 또 공약 중 하나인 종합대 신설·이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인정했다. 전국적으로 학생 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국립대 신설은 실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김 시장은 “특정 국립대 안에 특정 과나 특정 단과대학이라도 지역에 내려와야 하지 않겠나. 수도권에서도 몇 개 과를 갖고와서라도 국립대 캠퍼스를 만들겠다는 생각”이라며 “최근 지방의 한 대학이 울산행 의향을 내비쳤지만 규모가 적어 거절했다. 누가 봐도 명성이 있는 대학의 캠퍼스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시장은 또 울산에 종합대학이 부족한 만큼 지역 특성화 학과나 문화예술 관련 학과를 보강해 울산과학대를 종합대학으로 승격시키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울경 특별연합과 관련해서는 시의 입장을 이미 표명한 만큼 실무를 담당하는 추진단의 해체가 우선이며, 오는 12일 부산에서 3개 시·도 단체장이 만나 특별연합 외에 상생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