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음근린공원, 시민의 공원으로 만들자”

2022-10-13     강민형 기자
울산 남구 주민단체가 야음근린공원을 시민의 공원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남구주민대회 조직위원회는 12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들이 지켜낸 야음근린공원, 시민과 함께 시민의 공원으로 만들자”며 “국가산단으로부터 공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녹지확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직위는 지난 2021년 환경부 울산국가산단 공해실태 분석 결과를 언급하며 “울산에서 취급하는 위험 유해화학물질이 연간 1억3000만t을 넘어 전국의 30%를 차지하고 있고 암 발생률 전국 1위라는 오명을 썼다”며 “암 사망률은 평균 대비 남성 1.61배, 여성 1.33배를 기록할 정도지만 울산 국가산단은 타 국가산단에 비해 공해차단 녹지가 매우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21년 8월 설문조사를 진행해 선정된 5가지 의제에 대해 주민 3225명의 투표로 우선순위를 정했다. 투표 결과 야음근린공원 보존 및 공해차단녹지 확대가 35%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조직위는 “최근 정치권의 움직임으로 아파트 개발은 무산된 듯해 다행스럽지만 자칫 난개발이 될 수도 있다”면서 “울산시의 분명한 의지와 정부 차원의 지원 대책이 집중적으로 전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직위는 본질적으로 국가산단으로부터의 공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녹지 확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유해 화학물질의 위협으로부터 시민 건강을 지키고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당초 사업 취소시 공원 조성이 가능하다면 지정 해제 후 사업 중단 검토가 보다 수월해질 것이다”며 “다만 울산시 예산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을지와 난개발에 대한 우려가 있어 즉각적인 지정해제나 사업승인과 같은 입장 표명은 어려운 상황이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야음근린공원 개발에 대한 반대 민원을 인지하고 갈등영향분석 결과를 토대로 민관협의회를 열어 ‘차단 녹지 강화 방안 마련안’을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전달한 바 있다. 이후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의 방안을 이행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하면서 야음근린공원에 대한 명확한 입장 정리는 안 된 상태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