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맥스터(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반대 확산…노동계도 가세

울산민노총 건설 반대 기자회견
현대車·重 새 노조집행부도 참석
울산시민 배제 일방적 결정 반대
핵폐기물 저장시설 건설 막을 것

2020-01-15     차형석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경주 월성원전 맥스터(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건설 허가와 관련해 울산지역의 반발이 지역 노동계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본부장 윤한섭)는 15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노총 울산본부 8만5000명의 조합원과 그 가족의 안전을 위해 울산본부는 고준위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 증설을 막아내기 위한 실천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날 회견에는 이상수 현대자동차 노조 지부장과 조경근 현대중공업 노조 지부장도 참석했다.

이들은 “정부는 울산시민의 의견은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고리와 신고리, 월성핵발전소를 건설한 결과 전국 26기 중에 울산시청 반경 30km 안에 14기의 핵발전소와 고준위핵폐기물의 70%가 존재한다”며 “울산 시민들은 고준위핵폐기물 관리정책 결정의 당사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의사결정에 배제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월성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반경 30㎞안에는 경주시민 5만6000명, 울산시민 101만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원전 반경 20㎞ 안에는 경주시민 4만7000명, 울산시민은 44만명이 살고 있다.

이들은 “방사능 누출 위험이 높은 고준위핵폐기물 영구처분장이나 중간저장시설도 없이 핵발전소내 핵폐기물을 쌓아두는 것에 대한 타당성 여부는 국민적인 토론과 대화가 필요하다”며 “현재의 재검토위원회와 경주지역실행기구는 즉시 해산하고 정부의 졸속 공론화 중단과 책임자를 해임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핵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 노동자 연대를 조직해 일방적인 핵폐기물 저장시설 건설을 막아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지역은 지난 10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월성 1~4호기 사용후핵연료 조밀 건식 저장시설인 맥스터 추가 건설을 허가하자 탈핵울산공동행동과 울산 북구주민을 중심으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울산 북구지역은 경주 월성원전의 위치가 경주시청보다 가깝지만 이번 맥스터 추가건설 의견 수렴에는 제외된 상태다. 현재 정부가 출범시킨 ‘월성원전 사용후핵연료 경주실행기구’는 경주시민들만을 대상으로 위원 구성과 주민의견 수렴을 받을 예정이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