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조달 악화로 울산 주택사업경기 하락세 지속

2022-10-25     석현주 기자
울산지역 주택사업경기 하락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연이은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악화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기피로 자금조달 상황이 크게 나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 500여 곳을 대상으로 주택건설 사업 체감경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달 울산지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지난달(33.3)보다 1.9p 하락한 35.2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수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전월대비 지수가 소폭 상승했지만, 지난달 전망지수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던 만큼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국 평균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47.8)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남이 58.8에서 42.1로 떨어지면서 하락 폭(-16.7p)이 가장 컸고, 경남(56.2)과 강원(52.9)은 각각 16.2p와 14.5p 상승하면서 주택경기 전망이 개선됐다.

한편 자재 수급과 자금조달 상황이 나빠지면서 주택건설 수주지수와 자금조달지수는 크게 악화했다. 전국 주택건설 수주지수(재개발·재건축·공공택지·민간택지)는 모든 분야에서 지난달보다 하락했고, 자금조달지수는 올해 8월 66.6, 지난달 52.7이었으나 이달에는 40.2로 급락했다.

연구원은 “자금조달지수 대폭 하락은 기준금리 인상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또 부동산 경기 악화로 인한 부동산 PF 대출 기피로 자금유동성이 악화한 것도 주요 영향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