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수주호황 속 인력난, 고용위기지역 지정 재연장해야
현대중공업 사내협력회사협의회는 2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업 정상화를 위해서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며 “울산 동구에 대한 고용위기지역 재연장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동구의 고용위기지역 지정은 올해 12월 만료된다. 협의회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선박 수주 호황에도 불구하고 사내 협력사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이 있는 울산 동구는 2018년 4월5일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네 차례에 걸쳐 지정이 연장된 바 있다. 이에 대해 혹자들은 그 동안 4차례나 지정을 연장해줬는데도 아직도 정부에 의지하는 것은 자구노력이 부족하기 때문 아니냐고 지적한다. 이전에는 수주절벽으로 인해 근로자들이 대거 떠나갔다고 치지만 이제는 최대의 호황기를 맞은만큼 스스로 자력갱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면 사내협력사들의 애로 사항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현대중공업 사내협력회사협의회에 따르면 현재 현중 협력사 인원은 호황기 대비 40% 수준인 1만4000여명에 불과한 수준이다. 최근에는 조선업이 3D업종으로 분류돼 훈련생 모집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여기다 상당수 사내 협력사들은 4대 보험료를 체납했다는 이유로 정부 지원사업인 청년고용지원금, 고용유지지원금, 고용안정장려금 지원대상에서 제외됐다. 뿐만 아니라 이 회사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은 금융거래 제한, 신용보증재단 보증 불가 등의 이중고를 겪고 있다.
조선업 하청체들의 고통은 울산 동구 뿐만 아니다. 경남을 비롯해 전남 목포·영암, 전북 군산 등도 고용위기지역 연장을 원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23일 발표한 ‘조선해양산업 인력지원방안 연구’ 용역 결과에 따르면 세계 1위인 한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향후 5년간 4만3000명의 전문인력이 추가로 투입돼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업 종사자 수는 지난 2014년 20만3441명으로 최대를 기록한 후 계속 줄어 올해 7월 기준 9만2394명으로 급감했다. 반면 지난해 우리나라 수주량은 전년 대비 98.5% 증가한 1768만CGT(표준선 환산톤수)를 기록했다.
추경호 부총리는 지난 19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조선산업의 초격차 실현을 위해 종합적 인력확충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른 나라들이 더 이상 따라올 수 없는 격차를 벌리겠다는 것으로, 사내협력사들의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다. 사내협력사들이 살아남지 못하면 초격차 실현은 한낱 꿈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