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옛 파출소·치안센터 장기방치 논란

2022-10-25     정혜윤 기자
울산지역 내 옛 파출소·치안센터 일부가 장기간 공·폐가로 남으며 치안 사각지대 우려와 도심 미관을 해친다는 지적이다. 옛 무거지구대 등 활용방안을 찾은 건물도 있으나 기획재정부로 자산반납된 건물들은 방치 장기화가 우려돼 지자체 차원의 매입 등을 통한 활성화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4일 방문한 울산 중구 구 병영파출소. 병영로 대로변 한 가운데 위치한 구 병영파출소 건물의 창문 코팅은 벗겨졌고 외관 곳곳에는 불법 전단물이 붙어 볼썽사나운 모습이다. 해당 건물 인근에는 병영 행정복지센터와 병영시장이 위치해 유동인구가 많고 도로도 혼잡하지만 한가운데 방치된 건물로 지나가는 인근 주민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병영시장 상인 A씨는 “폐가 같아 보기가 안 좋고, 건물 위치도 시장과 행정복지센터 입구에 위치해 통행도 어렵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구 병영파출소 건물은 지난 2007년 병영파출소가 병영지구대로 이전하면서 별다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약 15여년째 방치되고 있다.

남구 무거동 옛 무거지구대도 지난 2019년 12월께 지구대 이전 이후 현재까지 별도 쓰임새 없이 공가로 남아있다. 삼호동에 위치하다 지난 2010년께 폐쇄된 삼호치안센터도 장기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중 옛 무거지구대 건물은 남부경찰서직장어린이집으로 활용키로 결정돼 오는 2024년 2월께 공사가 진행된다.

반면 구 병영파출소 건물은 지난해 2월17일께, 삼호치안센터는 올해 7월 기재부로 자산반납돼 시경찰청 차원의 자체 활용이 사실상 어려워 방치가 장기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기재부가 국유재산 매각 혹은 용도 폐지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 이상 활용 방안이 없다.

이에 지자체 차원에서 별도 활용 방안을 모색해 건물 매입 등을 통해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기재부는 올해부터 정부가 잘 사용하지 않는 토지·건물 등 국유자산을 민간 등에 적극적으로 매각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