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도시다운 도시 북구, 도시답게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되던 해 중구의 진장·효문·송정·양정동과 울주군의 농소읍, 강동면을 합쳐 151.46㎢ 면적의 북구가 탄생되었다. 그 이듬 해 동구 염포동의 편입과 진장동이 효문동으로 통폐합되면서 지금의 8개동 행정체제를 갖춘 북구가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북구는 울산시의 타 구군과 달리 늦게 독립되어 도시의 모습을 조금씩 갖춰나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타 구군에 비해 도로, 학교, 공공시설 등 도시 인프라 구축 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그에 반해 2015년을 정점으로 매년 울산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와중에도 북구만이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2022년 7월 기준 울산의 인구수를 보면, 북구 인구가 22만809명으로 동구(15만6089명)와 중구(21만1743명)보다도 많고, 40대까지의 젊은 연령층이 가장 많은 지역도 역시 북구이다. 울산 북구는 중산 매곡지구, 강동 산하지구, 송정지구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 개발 및 입주로 유입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11월에도 약 1000세대가 효문동과 양정동에 입주 예정으로 있어 내년까지 인구 증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민선 8기 김두겸 시장의 제1호 공약 ‘개발제한구역 해제’로 창평지구 등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은 북구의 빈 땅의 개발과 함께 북구는 급속도로 가파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9월 1일 확정고시된 ‘태화강역~북울산역 광역전철 연장사업 기본 계획’에 따라 2025년 이후 울산 북구와 울산의 지형까지 바꿀 철도교통망이 구축되면 유동인구는 더 많아 질 것이다.
하지만, 북구의 성장을 마냥 기뻐할 수만은 없는 일이다. 인구가 증가하고, 새로운 개발계획들로 청사진을 그려 놓았지만 정작 도시 기본 생활인프라인 도로망, 학교, 공원 등은 턱 없이 부족하다. 뿐만 아니라 계획된 도로마저 일몰제(장기미집행시설 실효)라는 이름하에 사라지고 있다. 도시 인프라는 정주여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북구의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북구에서 남구와 중구로의 전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주요 기관과 시설, 그리고 상업시설이 집중된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물론 여기에는 아침저녁 출퇴근하면서 도로에서 허비되는 시간도 반영되었을 것이다. 교통불편 만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없을 테니깐. 올해 준공예정이었던 북구 매곡천부터 동대초교 도로개설(대3-55호선) 사업은 예산부족으로 토지보상률 60%에서 멈춘 채 2년째 중단된 상태라고 한다. 이 뿐만 아니라 농소~강동간 도로, 달천아이파크~천곡천간 도로(중1-121호선), 신천엠코아파트~국도7호선 연결로 개설(대3-38호선) 등 아직 공사시행조차 못하고 있는 도로계획들이 즐비해 있다.
어디 광역시도 뿐이겠는가. 도시 내 내부통행을 책임지는 구도 또한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2021년 12월 기준 울산시 도로율은 22.43%에 불과하며, 전체 3117㎞ 중 337㎞는 미개통 상태로 타 구군에 비해 북구의 미개통 도로(143㎞, 42.4%)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와 교통망 등 생활 인프라가 구축되면 자연스레 사람이 모이고 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울산 북구는 사람이 먼저 모여 생활을 이루고 있으나 예산이라는 한계에 부딪혀 더디기만 하다.
참으로 안타까운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매년 증가하는 인구유출로 고민이 많은 울산시에서는 인구유입에만 집중 할 것이 아니라 울산시민을 먼저 생각하고 그 들이 울산을 떠나가지 않도록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옛말에 시불가실(時不可失)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한 번 시기를 놓치면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는 것이다. 울산시와 울산 북구는 다시 한 번 이 말을 되새기며 때를 놓쳐 그 동안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지 않도록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 행정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 함께 힘을 모으길 바란다.
문석주 울산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