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민생·경제공약 나란히 발표
민주, 총선 1호 공약으로
‘공공 와이파이 구축’ 발표
생활밀착형 정책 선두에
한국, 경제공약 내놓아
재정건전성 강화 필두로
노동시장 개혁·탈원전 폐기
4·15 총선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온 15일 여야의 총선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각 당이 민생·경제 관련 공약을 발표하고 정책 대결에 돌입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공공 와이파이(WiFi) 구축’을 1호 공약으로 발표, 2022년까지 버스·터미널, 전통시장 등 전국에 공공 와이파이 5만3000여개를 구축해서 전 국민이 통신 비용을 걱정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한때 ‘모병제 도입’ 등 굵직한 공약을 검토했던 민주당이 이날 생활밀착형 정책을 첫 번째 공약을 선택한 것은 정치적 논란이 적고 실제 국민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통해 총선에서 국민적 지지를 끌어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또한 연초까지 계속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정국에서 검찰개혁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면서 ‘민생에는 관심이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앞으로 매주 정책 공약을 단계적으로 발표하면서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인 동시에 공천 작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전략공천관리위원회를 열어 현역 의원 불출마 지역을 전략지역으로 분류한 뒤 16일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에서 이들 지역을 뺀 지역구를 대상으로 하는 후보 공모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한국당은 이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폐지를 총선 공약으로 발표한 기운데 이날 경제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에는 문재인 정부의 ‘슈퍼 예산’ 편성 등 적극적인 재정 정책에 제동을 거는 재정건전성 강화, 노동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노동시장 개혁, 탈원전 정책 폐기 등이 포함됐다.
한국당은 또한 공천작업을 주도할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16일 공관위원장 후보를 추가로 압축,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당은 새로운보수당 등과 함께 당 대 당 및 혁신통합추진위(혁통위) 채널 등을 통한 통합 논의도 진행 중이다.
새보수당도 이날 총선기획단을 구성한 가운데 다른 군소야당의 총선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정의당도 이날 무주택 세입자에 주거권을 9년간 보장하는 내용 등을 담은 부동산 정책을 두 번째 총선 공약으로 발표했다.
대안신당은 이른바 소통합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소통합은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등 호남 연고가 있는 정당과 총선 전에 통합하자는 것이지만 당별 입장차로 속도는 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