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활성단층 위의 울산, 내진보강·대피훈련 더욱 강화해야

2022-10-31     경상일보

지난 29일 충북 괴산군 북동쪽 11㎞ 지역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다. 주민들은 “폭탄 터지는 소리가 났다. 산이 무너지는 줄 알았다”며 “여태 살면서 이렇게 큰 흔들림을 느낀 지진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이번 지진은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다시 한번 일깨워줬다. 특히 우리나라 최대의 단층대가 지나가는 울산, 경주, 포항은 언제, 어느 지점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지 모르는 가장 위험한 지역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괴산 지진을 계기로 울산양산 단층대와 주변 단층들에 대한 대책도 함께 재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번 괴산 지진은 국내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 남북한과 그 주변 해역을 합쳐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중에서는 38번째로 큰 규모다. 역대 가장 규모가 컸던 지진은 2016년 9월12일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7㎞(내남)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이다. 이어 2017년 11월15일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 지역에서 일어난 규모 5.4 지진이 두 번째로 큰 지진이었다. 이들 역대급 지진들은 모두 양산~울산(언양)~경주~포항을 잇는 지역에서 발생했다. 특히 지난 2016년 발생한 경주 지진은 행정구역상 경주일 뿐 생활권은 울산이나 다름 없는 지역이다.

울산은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면 피해가 가히 천문학적인 수준에 이르게 된다. 전체면적 1061㎢ 중 여의도 면적의 6.8배에 달하는 20㎢가 지진에 취약한 연약지반에 해당한다. 여기다 국가산업단지에는 폭발물이 산재해 있고 남북으로는 원전이 밀집해 있다. 또 산업단지 배관과 저장시설은 노후화돼 언제 터질지 모른다. 지진이 나면 울산은 복합재난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인 것이다.

울산시는 이같은 상황을 감안해 정부 목표보다 10년 앞당긴 2025년까지 내진보강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같은 목표는 공공시설물에만 해당될 뿐이다. 민간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은 지난해 기준으로 68.2%에 머물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서 “규모 4 정도의 지진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며 “지자체는 시설물 내진 설계를 확대하고 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진 대피 훈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 2019년 울산시는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시가 이같은 계획을 수립한 것은 그만큼 울산이 위험한 지역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시는 이번 괴산 지진을 계기로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을 다시 한번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