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민간축제 안전사고 예방대책 논의 본격화
2022-11-01 정혜윤 기자
31일 서울시와 경찰에 따르면 이번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주최자가 없이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상황을 대비한 경찰 매뉴얼이 없으며, 지자체도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지역도 현재 주최자가 명확해 사전 신고된 행사에 한해서는 매뉴얼에 따라 안전대책을 준비하고 있으나, 주최·주관이 없는 대규모 민간 축제의 경우 대응 매뉴얼이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집회, 행사는 경찰에 사전 집회 신고가 되면 경찰력을 배치해서 안전사고를 대비하고 있으며, 미신고된 불법 집회의 경우 정보계의 분석을 통해 사전 인원 배치 대응을 진행한다.
다만 경찰력 배치에는 별도 매뉴얼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 집회 성격과 규모, 인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그때마다 다르게 경찰력 배치를 결정하고 있다.
집회 성격이 아닌 각종 공연이나 이벤트, 국정행사 등은 경찰이 아닌 시나 지자체에서 별도 안전대책을 수립한다.
시에 따르면 상·하반기 축제 공모 사업 신청을 받는데 이때 신청된 행사 규모를 사전에 파악한다. 최대 관람객이 1000명 이상으로 예상되는 행사일 경우 공연법에 근거해 시가 안전관리계획을 세우고 사전 시설물 점검과 필요한 경우 소방이나 경찰과의 협의를 통해 안전 인력 배치를 요청하는 식이다.
그러나 사전 신고가 없고 주최자가 없는 대규모 민간 축제의 경우는 불특정한 규모와 진출입로 등 파악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시 관계자는 설명했다.
울산지역에서는 현재 매년 진행되는 주최자 없는 대규모 행사가 없어 관련 대응책이 없었으나, 이번 이태원 참사로 해당 사안에 대해 안전사고 대책 마련 필요성이 대두, 현재 본격 논의가 진행 중이다.
행정안전부는 이태원 참사 이후 각 지자체에 대규모 민간, 지역 축제가 있을 시 사전 안전총괄 강화, 콘서트·체육대회 진행에서 시민 진·출입로에 안전요원 확대 배치 등의 지침을 배포했다.
시 관계자는 “핼러윈축제 같은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상황이 안전사각지대에 놓인 사항을 인지하고 관련 상황에 대한 안전 대책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특히 울산지역은 아직 선례가 없으나 이번 사건을 계기로 매뉴얼을 수립해 안전 사각지대를 좁혀나가겠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