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지방소멸속도, 전국서 가장 빨라
비수도권의 소규모 구·군 지역에 주로 한정됐던 ‘지방소멸’ 추세가 울산과 부산 등 광역시로 확산 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울산은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빠르게 지방소멸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K-지방소멸지수’를 토대로 지방소멸 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228개 시·구·군 가운데 59곳이 ‘소멸위기지역’으로 분석됐다고 13일 밝혔다. 울산에서는 동구가 ‘소멸위기지역’으로 분류됐다.
소멸위기지역은 소멸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멸위험지역’(9곳)과 ‘소멸우려지역’(50곳)으로 나뉜다.
울산에서는 동구가 소멸지수 0.537로 ‘소멸우려지역’에 속하게 됐으며, 중구(0.977) ‘소멸선제대응지역’, 북구(1.022)·울주군(1.123) ‘소멸예방지역’, 남구(1.132) ‘소멸안심지역’으로 분류됐다.
소멸 우려가 가장 낮은 단계인 ‘소멸무관지역’에는 총 15개 구·군이 선정됐지만, 울산에서는 단 한 곳도 없었다.
특히 소멸우려지역으로 분류된 울산 동구의 경우 2018~2020년 인구 증가율이 -2.6%로 전국 평균(0.013% 증가)을 크게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고서는 “2016년부터 시작된 조선업 위기가 역내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인구유출 및 지역경제 침체를 유발했다”고 분석했다.
K-지방소멸지수는 1인당 경상연구개발비, 전산업다양성지수, 지식산업비율, 1000명당 종사자 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 인구증감률 등 6개 지표를 측정해 전국 평균을 ‘1’로 놓고 비교하는 방식으로 산출한다.
지역경제 선순환 메커니즘에 기반을 둔 K-지방소멸지수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지방소멸지수는 일본의 관료 출신 정치인 마스다 히로야의 분석 틀에 바탕을 뒀다. ‘65세 이상 고령자 대비 젊은 여성(20~39살) 비율’을 따지는 방식이다.
다만 앞서 발표된 지방소멸지수에서도 울산지역 소멸위기가 뚜렷했다.
울산은 2000년까지만 하더라도 소멸지수가 4.75를 기록하는 등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지방소멸 대응력이 가장 우수했다. 하지만 20년 후의 소멸지수는 1.13으로 무려 3.62p 하락하는 등 17개 시·도 가운데 지방소멸 속도가 가장 빨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소득의 역외 유출이 울산 지역경제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소멸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2020년 기준으로 지역별 소득의 역외 유출현황을 보면 울산 전체 지역내총생산(GRDP) 13.1%가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다른 지역으로부터 역내 유입되는 수도권과 대도시 지역과는 대조적이다.
보고서는 “소득의 역외 유출이 많은 비수도권에서는 역내에서 생산→분배→지출이 작동하는 선순환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비수도권 경제 침체가 국가 성장 침체의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는 만큼 정부차원에서 지방소멸 수준에 따라 지방 입지 기업에 차등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