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맑은물 확보에 나선 울산시…정부도 적극 협력해야

2022-11-16     경상일보

지난 9일 김두겸 울산시장은 헬기를 타고 울산시 전역을 항공시찰했다. 목적은 울산지역에 맑은 물을 공급하는 수원개발이다. 김 시장은 이날 10곳을 집중 점검했다. 이어 울산시는 ‘맑은 물 확보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10억원을 투입해 15개월간 용역으로 수자원 다변화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기존 댐의 용도 전환과 저수율 확대, 소규모댐 조성, 지하저류지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된다. 만시지탄이지만 심도 있는 용역을 통해 반드시 맑은물 공급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해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면서 맑은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긴 했으나 암각화 보존이 아니더라도 미래 물부족도시로서 맑은물 공급 대책 수립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우선 사연댐, 대곡댐, 회야댐, 대암댐 등 울산지역 내 기존 댐 4곳의 유역면적을 넓혀 담수용량을 키울 수 있는 지를 점검한다. 그 다음에 그동안 수차례 거론됐던 소규모댐 후보지 4곳도 다시 한번 살펴본다. 가칭 소호댐(상북), 복안댐(두서), 삼광댐(온양), 대운댐(온양 운화) 등이 대상이다. 하지만 이들 4곳은 이미 10여년 전 검토에서 사업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곳들이다. 4곳의 댐조성이 이뤄지면 7만1000톤의 용수를 확보할 수 있으나 사업비가 521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울산시는 신명댐과 작천댐 등 신규 소규모댐 후보지 2곳도 찾아냈다.

기존 및 신규발굴 소규모댐 후보지에 대해 김 시장은 일부 지역은 주변이 전원주택과 공업단지, 수목원 등으로 환경변화가 이뤄져 댐조성에 더 불리한 조건이 됐다며 어려움을 예상했다. 그나마 김 시장이 가능성을 발견한 곳은 소호댐과 대운댐, 작천댐 등이라고 한다. 주변에 민가가 거의 없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이번 용역에서 가능성을 찾아내서 정부에 강력 요청할 수 있었으면 한다.

대규모든 소규모든 댐 조성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린다. 오죽하면 거리가 엄청나게 먼 운문댐과 영천댐 물을 끌어오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됐을까. 소규모댐 조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으로 대구·경북지역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정부는 물론이고 대구·경북지역과의 협의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어쨌든 울산시가 맑은물 공급에 적극 나선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정부와 타지자체는 인류의 유산인 암각화를 보존하기 위해 사연댐 수위를 낮춘 울산시민에게 맑은물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물은 생명이다. 모든 국민은 맑은물을 마실 권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