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전기차 화재…대책마련 시급
2022-11-16 오상민 기자
15일 울산시에 따르면 2022년 9월말 기준 울산시 등록된 전기차는 4651대로, 매년 평균 48%씩 증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34만7000여대가 등록돼 전기차 40만 시대에 다가서고 있다.
전기차 보유 확대에 따라 전국에서 발생한 전기차·충전시설 화재 건수도 2019년 7건, 2020년 10건, 2021년 21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까지 20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기차량 관련 화재 발생이 늘고 있지만 소방의 화재 진압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청의 자료를 보면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진화에 걸린 평균 시간은 27분이고, 최대로 걸린 시간 2시간을 넘어선다.
하지만 환경부와 소방당국은 전기차 화재가 전기화재인지 금속화재인지도 정하지 않을 만큼 전기차 화재에 관한 정책에 진전이 없다.
현행법상 충전시설에 소화기 비치 의무가 없어 초기 진압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질식소화덮개도 화재 시 10분 가량이 지나면 온도가 670℃ 이상으로 상승해 덮개를 해제하면 다시 불이 붙기도 해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시설도 화재 시 취약하다. 지하주차장 입구 높이 등으로 소방차량 등 진입도 어렵다.
지하에서 화재가 나면 복사열이 높아 인접 차량으로 연소 확대가 쉽고 밀폐공간으로 연기가 확산돼 시야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다.
지하의 충전시설을 지상으로 이설해 달라는 관련 민원도 매년 증가할 만큼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소방 관련 한 전문가는 “전기차량이 증가하는 만큼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가 급증하지는 않아 화재 예방과 관련된 정책이 정체된 상태”라고 평가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