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시각]관광과 문화 조화 이루는 문화도시

2022-11-21     전상헌 기자

울산문화재단과 울산관광재단을 통합한 울산문화관광재단이 내년 1분기 중 출범을 앞두고 있다. 현재 울산문화관광재단으로 통합 출범을 위해 명칭을 변경하고, 재단의 목적 사업 확대, 임원 수 조정 등을 내용으로 한 입법예고가 진행 중이다.

지역 문화·예술계는 두 기관의 통합은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이라 받아들이고 있다. 서비스 대상과 수혜 대상, 사업의 유사성이 많다는 점에서 통합에 반대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관광재단 주도로 문화재단을 흡수 통합한다는 점에는 이견을 나타낸다. ‘문화’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 구성원에 의해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에서 이룩한 물질·정신적 소득으로 의식주를 비롯해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즉 관광도 문화의 일부인데, 관광재단이 문화재단을 흡수한다는데 대한 문화계의 반감이 있다. 7대 특·광역시에서는 두 기관이 통합 운영되는 최초의 사례다.

지역 문화계에서는 “재단 운영의 전체 틀을 관광에 맞추고,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위해 연예인 주도의 행사만 만들고 지역 예술인은 곁다리로 출연시키는 형태가 펼쳐질까 염려된다”며 “울산의 자연경관이 전국에서 손꼽히더라도, 문화라는 콘텐츠가 입혀져야 사람들이 즐겨 찾고, 머물며 즐기는 관광이라는 결과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과 지역 문화예술이 꽃피우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지역 문화계의 이런 우려가 기우에 그치길 바란다. 유사한 기능의 두 기관이 통합하면 울산 문화예술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통합 과정에서 인건비와 운영비를 절감해 지역 예술인에게 더 내실 있는 지원이 돌아갈 수 있다. 그 결과물은 시민들이 누리게 된다. 이를 위해 지금처럼 정해진 예산만 나눠주는 재단이 아닌, 관광·문화 콘텐츠 개발에 자율성을 가지는 것으로 통합 운영 방침을 세우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여기에 서류 작업만 뛰어난 특정인만 지원하지 말고, 재단이 발로 뛰며 지원이 필요한 수혜자를 발굴하는 것도 중요하다. 어떤 미래를 꿈꾸느냐에 따라 현재의 모든 자원, 가치, 제도의 성격은 물론 그것의 가용성 또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선사시대 만들어진 반구대암각화는 그 자체로 세계적인 관광상품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울산의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가 더해지면 특정 시기 울산을 방문해 즐기는 것을 넘어 머무르는 관광으로도 발전할 수 있다.

울산은 문화도시로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제4차 법정문화도시 지정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평가단이 이번 주중 현장 실사 후 지정 여부를 가린다. 내년 새롭게 출범할 울산관광문화재단을 주축으로 관광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며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누리는 ‘법정문화도시 울산’이 되길 바란다.

전상헌 문화부 차장 hone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