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직장어린이집 정원 미달 “주민 개방을”

2022-11-21     오상민 기자
젊은 층 중심 탈울산과 신생아 출산수 감소 등으로 울산지역 지자체 직장 어린이집의 정원 미달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지자체 직장어린이집의 운영비 일부가 세금으로 충당되고 있는 상황 등을 감안해 지역 주민 자녀들에게까지 모집 대상을 넓힐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8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시청, 5개구군 직장 어린이집의 정원은 총 349명이지만 현재 다니고 있는 아동수는 246명으로 정원대비 현원비율이 70.49%에 불과하다. 울주군 직장 어린이집이 58.59%(정원 99명·현원 58명)로 가장 낮았고 동구 62.96%(정원 27명·현원 17명), 중구 69.57%(정원 23명·현원 16명) 순으로 나타났다. 북구는 정원 39명에 현원 36명으로 92.31%를 기록, 시에서 가장 높았지만 역시 정원에는 3명이 미달됐다.

울산의 인구감소와 저출산 경향에 따라 지자체 직장어린이집이 정원 충원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육아휴직 등의 복지 제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자리잡아 직장어린이집 이용률이 더 떨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올해 8월 울산 출생 신생아수는 447명으로 전년 동월(527명)대비 15.18%가 감소했다.

이에 남구청 직장어린이집은 내년부터 장생포 고래문화재단, 남구도시관리공단 등 산하 기관 직원의 자녀 등으로 모집 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직장과 어린이집간의 거리 등으로 모집에 어려움이 예상돼 정원 충족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원아 모집을 일반 주민들에게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보육교사의 인건비 등이 지자체별로 적게는 2억원 많게는 7억원까지 세금으로 충당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보육 관계자는 “주민 세금이 지출되는 만큼 미달된 정원수만이라도 주민에게 모집을 확대하는 방향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동구와 중구는 재직자 외 주민에게 모집 확대 운영중이다. 오상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