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등 수도권이 전체 근로소득의 60% 차지

2022-11-22     석현주 기자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전체 근로소득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울산 전체 소득은 우리나라 전체 근로소득의 2%에 불과했고, 서울 상위 10% 소득이 울산 총소득을 크게 웃돌았다.

21일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수도권 근로자 1134만8000명이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총 453조원이었다. 전체 근로소득(746조3000억원) 대비 60.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서울(592만6000명)이 247조2000억원(비중 33.1%), 경기(452만1000명)가 174조원(23.3%), 인천(90만1000명)이 31조7000억원(4.2%)이었다.

3년 전과 비교하면 수도권 근로소득 점유율은 2017년 60.4%에서 소폭 올랐다. 인구 비중이 같은 기간 58.5%에서 58.2%로 낮아지는 사이 수도권의 소득 비중은 더 높아진 것이다.

이에 비해 울산지역 근로자 40만397명이 벌어들인 소득은 총 17조40000억원으로 전체 근로소득(746조3000억원)의 2.3%에 그쳤다.

지역별 근로소득 상위 10%로 놓고 봐도 수도권 소득 집중 현상은 두드러졌다.

2020년 서울 상위 10%에 해당하는 59만3000명이 번 근로소득은 전체 소득의 10.9%에 해당하는 81조7000억원이었다. 경기 상위 10%인 45만2000명의 소득은 55조2000억원(7.4%)이었다.

서울 상위 10%와 경기 상위 10%의 총소득은 울산지역(40만397명·17조40000억원) 전체 총소득을 크게 웃돌았다.

강준현 의원은 “상위 근로소득자를 포함한 근로소득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대기업을 비롯한 주요 기업이 수도권에 집중된 것에 기인한다”며 “지방소멸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라도 지방지역으로의 기업 유치 등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