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24일부터 대대적 ‘동투’ 긴장감
노동계가 이번주 대대적인 동투(冬鬪)에 들어가는 가운데 울산지역 노동계도 대거 동참하면서 지역사회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화물연대, 철도노조, 학교비정규직노조는 22일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동투를 본격화했다. 정부도 불법 파업에 대한 강경한 대응을 예고하며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물연대 울산본부는 오는 24일 오전 10시에 울산신항에서 1200여명의 노조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출정식을 갖고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다. 화물연대는 출정식 후 석유화학단지로 분산해 파업을 진행한다. 지난 6월 여름 투쟁에서 운임제 지속 추진과 품목확대 등을 국토부와 지속적으로 논의하기로 했으나 진전이 없는데에 따른 것이다.
화물연대는 국토교통부에 올해말에 종료되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운임제에 적용되는 차종과 품목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안전운임제는 3년 더 연장하되 기존 컨테이너와 시멘트운송차량에서 더 확대하는 것은 불가하다”며 “불법적인 운송거부나 운송방해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파업 시행으로 인한 물류 운송 차질이 불가피해 울산시 등 행정당국도 비상이 걸렸다. 시는 지난 14일 오후 5시부터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를 발령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23일 위기경보가 경계단계로 격상되면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비상수송대책은 울산신항, 정일 울산컨테이너터미널 및 공동차고지 등 9곳에 경찰에 보호 요청을 하고, 대체 수송차량 및 인력 운송행위를 지원한다. 또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유료 운송을 임시적으로 허가한다.
전국철도노동조합도 철도 민영화·구조조정과 임금 정액 인상, 불공정한 승진제도 개선 등을 내세우며 24일부터 준법투쟁(태업)에 들어가고, 진전이 없을 시 다음달 2일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24일 한국철도공사가 알린 준법투쟁에서 운행이 중지되는 열차에 울산이나 부산 등 경남권 주요역은 포함되지 않아 울산역 등에서 이용객들의 불편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학교비정규직노조도 총파업에 나선다. 학비노조는 단일 기본급체계 적용, 최저임금대비 낮은 기본급 체계 정상화, 복리후생 수당 지급기준 동일 적용 등을 내세우며 오는 25일 하루 파업을 실시하기로 해 급식 중단 등 차질이 예상된다. 이에 시교육청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도시락을 준비하도록 안내하고 있고, 도시락을 준비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빵과 음료 등을 지급할 계획이다.
한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윤석열 정부의 정책평가와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의 사퇴 촉구 등의 내용을 담은 투표를 22일부터 진행하고 있다. 울산에서는 이날 북구청에서만 투표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투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전해진데다 다른 지자체의 투표 강행여부도 불분명해 참여율이 높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