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시, 법정문화도시에 선정…살고 싶은 도시로 한발

2022-12-06     경상일보

울산시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하는 법정문화도시가 됐다. 광역시로는 처음이다. 지난해 12월 제4차 예비문화도시에 선정된 울산시가 지난 1년간 시험 과정을 통과한 것이다. 울산시는 5년간 200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100억원)의 지원을 받는다. 금액적으로 많다고는 할 수 없으나 법정문화도시는 단순히 시설이나 재정적 지원을 넘어 지역문화발전 종합계획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울산시에 반드시 필요한 프로젝트다.

울산은 산업도시로 급성장한 도시로서, 산업과 문화의 불균형이 심각한 도시다. 경제적 수준 향상과 더불어 문화적 욕구가 증가하면서 문화시설과 프로그램이 부족한 울산은 한때 ‘떠나고 싶은 대표적 도시’로 꼽히기도 했다. 그로 인해 수년 전부터 울산시와 구·군들이 문화도시를 표방하면서 나아지고는 있지만 과감한 재정적 투자와 역량 있는 인력 발굴, 프로그램 개발 등에는 소홀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단체장의 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이 더 큰 이유가 됐다. 이번 법정문화도시 선정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총체적 문화도시로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지난 2018년부터 전국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법정문화도시 지정을 시작했다. 장기적으로 ‘모든 도시는 특별하다’는 관점에서 전국적으로 문화도시를 확산하고 권역간 문화도시 벨트를 구축해 지역간 상생발전을 촉진하겠다는 것이 취지다. 매년 10개 도시를 예비도시로 선정한 다음 1년간 준비기간을 거친 뒤 평가를 통해 법정문화도시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2022년까지 30개 문화도시 브랜드를 창출하겠다고 했으나 법정문화도시의 관문을 통과하는 것이 호락호락하지는 않았다. 1차와 2차에서는 10곳의 예비문화도시 가운데 7곳과 5곳만 법정문화도시로 선정됐고, 16곳의 예비문화도시를 선정했던 3차에서 6곳만 선정됐다. 3차에 걸쳐 18곳으로, 겨우 50%만 법정문화도시로 전환됐다. 울산시가 1년 만에 예비문화도시를 벗고 법정문화도시가 된 것은 울산시와 지역 문화예술계의 노력이 그만큼 컸다는 말이다.

울산시는 예비문화도시 신청에서 ‘꿈꾸는 문화공장 문화도시 울산’을 주제로 도시전환력, 문화다양성, 문화공공성, 문화협치 4분야에서 예비사업 11개와 본 사업 14개를 수행하겠다고 했다. 여기서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문은 시민들의 참여다. 예술인을 지원하거나 작품 제작을 지원하는 정책을 넘어서 모든 시민이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도시로, 차원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이다. 5년간의 법정문화도시를 통해 산업과 문화의 격차가 사라져 청년들이 살고 싶어하는 도시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