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삶의 질 보여주는 지역안전지수, 투자 아끼지 말아야

2022-12-16     경상일보

현대인들은 자신도 모르는 위험 속에 살고 있다. 서울 이태원에서 발생한 참사는 시민들이 얼마나 위험한 상황에서 생활하고 있는지를 새삼 일깨워주는 사건이었다. 그러나 아직도 지자체와 시민들은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행정안전부는 15일 2021년 통계를 기준으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별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안전수준 등을 나타내는 2022년 지역안전지수를 공표했다. 지역안전지수는 각종 통계를 활용해 자치단체별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것으로, 1~5등급으로 나뉜다. 이는 안전사고 사망자의 체계적 감축을 위해 안전관련 정책·사업을 최일선에서 결정·집행하는 지자체(장)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울산의 경우 6개 분야 가운데 3개 분야에서 1개 등급 이상 상승했다. 나머지 3개 분야는 전년 등급을 유지했다. 전체적으로는 지난해 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는 크게 줄었고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와 교통사고도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울주군이 교통사고·생활안전·자살 3개 분야에서 1등급을 달성하는 등 안전지수가 높은 지자체로 평가됐다. 북구도 범죄·자살·감염병 3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고, 동구는 교통사고와 범죄 2개 분야에서 1등급을 달성했다.

그러나 분야별, 지역별 평가점수를 평균적으로 분석해보면 울산은 결코 안전이 보장된 도시는 아니다. 생활안전과 자살 분야에 있어서는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통사고, 화재 등도 다른 도시에 비해 안전도가 떨어져 있는 상태다. 특히 남구는 화재와 자살에서 최하위 등급인 5등급을 받았다. 이처럼 울산은 국가산업단지내의 화재·폭발 사고가 빈발하고 빈부격차가 심한 것 외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지역안전지수을 보면 세종특별자치시와 경기도가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광역 지방자치단체로 나타났다. 이 두 지자체는 6개 분야 중 4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울산시민들에게는 부러움의 대상이 될 만하다.

지역안전지수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로 이용된다. 안전한 삶을 보장받지 못하면 인구이탈은 갈수록 심해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안전지수까지 떨어지면 울산은 더 이상 미래를 확신할 수 없다. 안전은 주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다. 물론 예산상의 한계가 있기도 하겠지만 안전보다 중요한 가치는 없다. 울산시는 시민들의 안전의식 제고와 함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안전분야 투자에 인색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