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생사의 경계 가르는 응급의료기관, 확충 시급하다
울산지역 응급의료기관 수가 전국 8개 특·광역시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의 응급의료기관은 모두 13개소로 숫적인 면에서 대전(10개)보다는 많지만 그 역할이나 비중으로 치면 꼴찌나 다름없다. 울산의 의료기관 수가 열악한 것은 이전부터 알려져 있는 사실이나 아직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것은 큰 문제다. 특히 시민들의 생명이 걸린 응급의료기관 수가 전국 꼴찌라는 사실은 울산에 정착하려는 시민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하다.
울산은 현재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기관 5개 등 총 13개 응급의료기관이 지정돼 있다. 이에 비해 인근 부산은 35개를 갖추고 있다. 인구가 비슷한 광주(15개)도 울산보다 많다. 대전은 울산보다 기관 수는 적지만 권역응급의료센터 2개, 지역응급의료센터 4개, 지역응급의료기관 3개 등 큰 규모의 응급의료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처럼 울산지역 응급의료기관이 늘어나지 않는 것은 의료인력이 지방으로 오는 것을 꺼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응급시스템은 크게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등으로 나뉜다. 이들 응급의료기관으로 지정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인력이 뒷받침돼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것이 울산의 현실이다. 이들이 지방을 기피하는 것은 수도권에 비해 교육·문화 등 생활환경이 뒤떨어지기 때문이다. 일선 병원 관계자는 “수당 등 추가비용을 지불해도 의료인들이 울산으로 오려고 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울산시의회 공공보건의료인프라확충특별위원회는 지난 6일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의 산재전문공공병원 부지와 북구 창평동 울산의료원 부지를 돌아보고 울산의료원 건립 타당성 재조사 통과를 촉구했다. 그러나 아직도 정부는 묵묵부답이다.
중증응급환자들은 1분1초에 따라 생사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다. 국회 최연숙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중증응급환자가 골든타임 내에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하지 못한 건수가 52.1%로 나타났다. 질환별로는 중증외상,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순이었다.
울산시의 ‘2022년 울산광역시 사회조사’에서 시민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장 원하는 행정분야로 ‘의료서비스 개선 및 시설 확충(공공병원 건립 등)’를 들었다. 정부와 시는 하루 빨리 의료인력 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의료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특히 대통령은 울산의료원 설립을 공약으로 채택하지 않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