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당분간 5% 내외 상승률 이어질듯”
2022-12-21 석현주 기자
오름폭을 키우고 있는 근원물가 상승률도 조만간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20일 발표한 ‘12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향후 물가경로 상에는 유가와 환율 흐름,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 정도, 국내외 경기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가는 가운데서도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 하방 압력이 커져 상승폭은 점차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둔화 속도와 관련해선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전제했다.
올해 1~11월 물가상승률은 5.1%를 기록, 물가안정목표(2%)를 크게 웃돌았다. 한은은 연간 기준으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4.7%)을 넘어 1998년(7.5%) 이후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울산의 경우 올해 1~11월중 소비자물가가 전년동기대비 4.9% 상승해 2008년 수준(5.2%)을 넘진 못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지역 소비자물가는 연초 3%대에서 가파르게 높아져 7월 6.1%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5%대로 다소 둔화된 상황이다.
한은은 향후 물가 여건과 관련해선 최근 글로벌 경기둔화로 유가 하방 압력이 커졌지만, 대러 제재,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의 대규모 감산 등 공급 측 불안요인도 상존해 있다고 진단했다.
물가를 끌어올리는 가장 큰 요인은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으로 진단됐다. 그간 누적된 원가상승 부담이 공공요금에 점차 반영되면서 물가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한은은 “단기적으론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상방 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하방 압력이 상당 부분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는 12월 평균 배럴당 75.9달러로 하락했고 원·달러 환율도 1300원대로 내려왔다. 유류세 인하폭 단계적 축소, 전기·가스요금 인상 정도 등이 향후 물가 흐름을 좌우할 전망이다.
한은은 또 근원물가도 조만간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근원물가 이외의 기조적 물가 오름세는 지난해 이후 꾸준히 높아지다가 최근 4%대 중반에서 주춤한 모습이다.
한은은 “조정평균물가(개별품목 상승률 분포상의 하단 13%, 상단 12%를 제외한 물가), 가중중위수물가(개별품목 상승률 분포의 중위수 물가) 상승률이 최근 둔화된 점에 비춰볼 때 근원물가 상승률도 조만간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