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트램→경전철 검토

2022-12-27     이춘봉
정부가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사업의 방향을 트램에서 경전철로 전환하고 있다. 편익을 최대한 확충해 낮은 경제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인데, 울산시는 경전철 전환에 따른 정류장 감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를 설득한다는 전략이다.

26일 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사업의 사전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당초 트램으로 계획했던 운송 수단을 경전철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는 두 가지 목적을 갖고 경전철 전환을 고민하고 있다.

우선 사타 과정에서 확인된 부족한 경제성을 제고하는 차원이다.

트램을 선택할 경우 사업비는 약 1조원이 소요되지만, 경전철 사업비는 2조원대로 껑충 뛰게 된다. 대신 트램을 운영할 경우 KTX울산역에서 부산 노포동까지 약 60분이 소요되지만, 경전철은 40~50분만에 운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송량도 경전철이 트램보다 많다. 편익을 제고해 전체 경제성을 높이겠다는 게 국토부의 전략이다.

국토부는 또 운영비 투입을 꺼리는 3개 시도의 입장도 고려해 경전철 전환을 추진한다.

트램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도시철도 연장형으로 분류되는데, 도시철도 연장형은 지자체가 운영비를 부담해야 한다. 반면 경전철은 신설형으로 분류돼 국가가 운영비를 내게 된다.

다만 경전철로 전환될 경우 운행 시간 축소를 위해 정차역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이에 시는 시민 편의는 물론 노선 주변 지역의 향후 도시계획과 연계하기 위해 정차역 축소를 최대한 막는다는 계획이다.

한편 국토부는 내년 3월까지 울산~양산~부산 광역전철 사타를 진행한 뒤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전망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