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대 의대 증원, 지역의료 발전의 시작이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이 6년 교육과정 중 최소 4년 이상을 울산에서 수업하게 된다. 내년에 의대생을 위해 울산에 학사도 건립한다. 이로써 울산대 의대라는 이름이 명실상부해진다. 그동안 사실상 서울 아산병원에서 대부분의 수업을 하고 전공의도, 졸업 후 진로도 서울 중심으로 이뤄졌기에 울산의대가 지역사회에 기여한 바가 크지 않았다. 그런데 문제는 울산대 의대가 울산으로 환원되더라도 의료인력 부족은 여전하다는 것이다. 울산대 의대 입학정원이 40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특히 울산대학교 병원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소아청소년과는 전공의를 지난 4년 동안 단 1명도 확보하지 못해 소아과 입원치료가 불가능해졌다.
이같은 의료인력 부족은 울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의료계의 주장대로 의대 입학생 동결을 지속해온 것이 원인이다. 16일 발표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망을 보면 현행 의대 입학정원을 유지할 때 2035년에는 의사 2만7000여명이 부족할 것”이라며 “공공의과대학 설립과 의대 정원 최소 1000명 이상 증원, 국립의과대학이 없는 광역시도에 100명 이상의 국공립 의대 우선 신설”을 요구했다. 특히 심각한 것은 지역간 의료 격차이다. 울산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친다. ‘지역의료 격차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0.77명으로 전국 평균 0.79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남(0.47명), 충남(0.49명), 충북(0.54명), 경북(0.55명), 경남(0.57명), 경기(0.6명), 인천(0.71명), 전북(0.71명)에 이어 9번째다. 울산은 광주, 대전, 세종과 함께 공공병원이 없는 지역이기도 하다.
울산의 의료인력 확충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수도권 대형 병원 의사를 울산으로 데려오는 것도 힘들고 다른 지역 의과대학에서 공부한 의료인력이 울산으로 오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울산대 의대가 교육부 방침에 따라 울산으로 옮겨오게 된 것이 실질적인 지역의료 발전의 계기가 되도록 하려면 의대 증원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울산은 국립공공병원 설립도 눈앞에 두고 있다. 의료인력 부족난이 심각해질 것이란 예상은 어렵지 않다. 의료 수준의 한 단계 도약에는 의료인력의 충분한 수급이 필수적이고, 이는 울산대학교만의 노력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미 정치권에서도 의대 증원에 대한 논의가 오래전부터 충분히 이뤄졌다. 정부는 더 이상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 울산대 의대 증원에 지역사회도 힘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