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통령, “한국 기업 해외진출 지장주는 규제, 글로벌 스탠다드로”

2023-01-26     김두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법무부·공정거래위원회·법제처 업무보고 마무리 발언에서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 나가 경쟁하는 데에 지장이 되는 규제는 과감하게 글로벌 스탠다드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최근 자유무역 체제가 흔들리고 군사 및 경제 안보를 놓고 세계가 블록화되는 추세에서 아무리 큰 기업이라도 알아서 국제시장에 나가 뛰라는 것은 어려운 주문”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게 “외국인 투자 기업이 우리 기업의 지분을 취득하고 국내에 투자하는 데에 지장이 되는 제도들은 발전된 나라들을 보며 바꿔달라”고 지시했다.

지난주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에서 ‘300억 달러(약 37조 원) 투자약속’을 끌어낸 직후 내놓은 지시사항이어서 주목된다.

대선후보 시절부터 자유와 인권, 법치를 강조해온 윤 대통령은 이날 업무보고에서도 ‘자유론’을 폈다.

윤 대통령은 먼저 “헌법의 키워드를 하나 꼽자면 그것은 ‘자유’일 것이다. 자유를 보장하는 사회와 그렇지 않은 사회의 격차가 얼마나 벌어지는지 현대사회에서 입증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과거의 자유란 경제적 강자들이 마음껏 돈을 버는 레세페르(laissez-faire·자유방임주의) 형태였으나 현대의 자유는 국민들이 성범죄 등 나쁜 환경으로부터 국민들이 마음 놓고 살 수 있는 자유, 자아실현의 자유, 문화와 교육의 기회가 보장되는, 국가의 관여가 필요한 적극적인 자유로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 자유가 공동체 안에서 지속 가능하도록 선택한 공존방식이 ’공정“이며, 이 공정에 의해 도출된 법과 규범이 책임으로 구현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연장선에서 윤 대통령은 “공정위와 법무·검찰은 책임을 위반하는 반칙행위를 바로잡아 자유로운 시장과 공정한 질서를 지키는 국가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한 장관에겐 “자유를 확장하고 세상을 풍요롭게 하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국제협력 없이 이뤄지기가 어렵다. 국제화란 글로벌 스탠다드에 우리 제도를 맞춰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기정 공정위원장에게는 “공정위는 경제부처가 아니다”라며 “제일 중요한 것은 예측 가능성이다. 예측 가능성이야말로 시장을 효율화하고 기업들이 더 열심히 뛸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당부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