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2022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최하위 등급

2023-01-27     박재권 기자
울산시가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에서 최하위인 5등급에 그쳤다. 시는 민선 7기 후반기 당시 불거진 고위 공직자들의 잇단 부패 사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청렴도 제고에 나서기로 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해 국내 행정기관, 공직유관단체, 국공립대학, 공공의료기관 총 569곳을 대상으로 종합청렴도 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시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중구와 남구, 북구와 울주군은 4등급, 동구는 5등급으로 5개 시·군·구 모두 하위권에 머물렀다. 울산시도시공사와 울산경찰청도 4등급에 그쳤다.

시가 5등급을 받은 이유는 지난해 4월 뇌물수수 혐의를 받고 1심에서 징역 1년형에 처해진 전 시청 과장과 지난해 12월 부동산 투기 혐의로 1심 재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송병기 전 울산시경제부시장 등 고위 간부들의 잇단 부패 사건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반면 UNIST는 국공립대학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에서 최상위인 1등급을 받았고, 시교육청과 공기업인 울산시설관리공단, 울산항만공사 등도 2등급을 받으며 선방했다.

국민권익위는 지난해까지 청렴도와 부패 방지 시책평가를 개별 측정해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청렴 체감도(60%)와 청렴 노력도(40%)를 합산해 종합청렴도(100점 만점)를 매겼다.

공공기관의 업무를 경험한 국민과 내부 직원의 부패인식·경험을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는 청렴 체감도, 각급 기관의 반부패 노력을 지표 이행실적과 효과를 통해 평가하는 청렴 노력도, 기관의 실제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반영하는 부패실태 감점을 종합해 최종 1~5등급으로 분류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평가 결과 체계가 일원화되면서 민선 7기 당시 개인의 일탈로 인한 부패 사건이 평가 결과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청렴도 향상 방안을 모색해 내년에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