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시 청년 정책, 든든한 일자리가 최우선이다

2023-01-27     경상일보

울산시가 26일 ‘2023년 제1회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시는 올해 청년정책에 899억원을 투입해 75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청년정책은 울산 백년대계의 첫 단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년이 없으면 인구가 없고 인구가 없으면 도시가 소멸한다는 것은 이미 상식이 된 지 오래다. 그 동안에도 울산시는 많은 청년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했지만 올해만큼 절실한 때가 없었다.

최근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복합위기 속에서 세계 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이 가운데 청년들은 일자리, 주거, 결혼·출산 등 청년의 삶 전반에 위기가 닥쳐왔다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은 중년층보다 청년층에서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올해 청년정책의 비전을 ‘청년 울산, 열정과 도전이 넘치는 도시’로 잡고 있으나 갈수록 악화되는 청년 현실을 극복하기에는 장애가 너무나 많다. 부단하고 획기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의 청년(19~34세) 인구는 20만명으로, 울산시 총 인구수 111만명 대비 18.83%다. 전국 인구 대비 청년인구 비율 19.92%보다 1.09%P나 낮다. 또 울산의 최근 5년간 청년인구 평균 감소율은 2.8%로, 인근 부산(1.6%), 경남(2.6%)보다 훨씬 높다. 울산의 청년인구 감소는 지난 2019년 5788명, 2020년 8100명, 2021년 9156명, 2022년 6003명을 기록, 감소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청년들이 울산을 떠나는 것은 일자리와 주거 문제 때문이다. 질 좋은 일자리가 풍족해지고 주거 문제가 해결되면 청년들은 반드시 돌아오게 돼 있다. 그러나 울산은 일자리가 가장 부족한 도시 중 하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대비 2022년 3분기의 전국 청년 실업률은 1.7% 감소했으나 울산은 오히려 0.1% 증가했다.

울산시는 올해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 75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한다. 그런데 세부사업을 뜯어보면 일자리 관련 신규사업은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적지않은 예산이 배정돼 있는 세계적 공연장 건립과 K팝 사관학교 설치 등이 청년일자리로 연결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청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당장 먹고 살 든든한 직장이다. 1년에 청년 6000명 이상이, 매일 16명 이상이 일자리를 찾아 울산을 떠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