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주요 항만중 울산항만 물동량 늘었다

2023-01-30     이형중
자료사진

지난해 국내 주요 항만 물동량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산업지원항만인 울산항이 유일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동량 증가에 따른 항만활성화는 물론 국내외 무역환경 악화 속에서도 연초부터 울산항에 컨테이너 신규 항로가 개설되는 가 하면 LNG벙커링, 수소부두 구축에도 속도가 붙는 등 항세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9일 울산항만공사(UPA)에 따르면 2022년 울산항 물동량은 전년(1억8477만t) 대비 5.5% 증가한 1억9485만t으로 최종 집계됐다.

수입화물은 1억379만5000여t, 수출화물은 6570만7000여t으로 각각 전년대비 3.2%, 8.5% 늘었다. 연안화물도 11.6% 늘었다. 지난해 선박입항 척수는 2만4204척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했다.

UPA는 물동량 상승 요인으로 국제유가 상승 및 석유 수요 회복, 탱크터미널사 대상 물동량 유치 포트 세일즈, 북미지역 자동차 수출 증가 등을 꼽았다. 울산항 물동량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액체화물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화물별로 보면 액체화물은 1만5743t, 일반화물은 3743t을 처리해 각각 6.0%, 3.5% 늘었다.

컨테이너화물은 지난 11월 국내 주요 항만 중 유일하게 반등세를 보였지만, 최종 전년대비 14.7% 감소한 38만9470TEU(1TEU는 20피트 길이 표준 컨테이너 1개)를 처리했다.

UPA 관계자는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서도 포트 세일즈, 고객 애로 해소 등으로 물동량이 지난해 보다 증가했다”며 “올해는 세계 경기침체 등 하방 위험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 수출 기업 지원과 신규 화물 수요창출 등으로 성장세를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전국 항만 물동량은 전년(15억8283만t) 대비 2.3% 감소한 15억4585만t을 기록했다.

주요 항만 처리 실적은 부산항이 4.0% 감소한 4억2492만t, 여수·광양항이 7.8% 준 2억7228만t, 인천항이 5.0% 감소한 1억4987만t, 평택·당진항이 0.6% 줄어든 1억1614만t이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