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청년 취업 빙하기에 공공기관 채용 한파까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2023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 개회사를 통해 올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목표를 예년 수준인 2만2000명+α 규모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예년 수준’이라고 했지만 2만2000명은 2017년 2만2659명 이후 6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울산지역 공공기관 10곳은 올해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자연감소 분에 대해서만 신규 충원을 계획하는 등 채용 규모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따라 소위 ‘신이 내린 일자리’로 불리는 공공기관의 채용문은 대폭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본격적인 경기침체를 앞두고 민간의 채용 확대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다. 주요국들의 금리 인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 각종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 국내 대기업들의 수출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공공기관 정원 44만9000명 중 2.8%인 1만2442명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인위적 구조조정이 아닌 퇴직·이직 등 자연 감소를 활용한다는 방침이지만, 그럼에도 신규채용 규모 축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추 부총리는 이날 청년 구직자들과 만나 “공공기관이 청년 일자리를 소화하면 좋겠지만 공공기관은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곳”이라며 “일없는데 사람을 채용하고 이러면 세금이 낭비된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지난해 81만6000명을 기록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올해 10만명으로 쪼그라들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한국은행은 9만명, 한국개발연구원(KDI)은 8만명으로 정부 전망보다 더 비관적이다.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의 채용이 급감하면서 청년들은 그야말로 진퇴양난의 처지에 남게 됐다.
정부는 지난해 1만9000명이던 공공기관 청년인턴 규모를 올해 2만1000명으로 늘리고 3·6개월인 인턴기간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이 같은 방안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공공기관 인턴은 사실 업무 보조역할에서 크게 벗어나기 어려운데다 길어야 6개월짜리 임시직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인턴의 단순 사무보조나 잡무는 원칙적으로 지양하고, 전공과 관심 직종 등을 고려해 전문 분야별 실무경험을 습득할 수 있는 분야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아직은 구체적인 대안이 없는 상태다. 정부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체계적인 취업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청년 취업 정책에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