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인공태양 에너지원 개발 위한 도전

2023-02-08     이춘봉
울산시가 부산·경남과 손을 잡고 인공태양 에너지원 개발을 위한 소형 핵융합 실증로 구축에 도전한다. 시는 올해 안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장기 로드맵에 사업을 반영한 뒤 국가사업으로 소형 핵융합 실증로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7일 시에 따르면, 시는 부산·경남과 공동으로 진행한 ‘인공태양 에너지 Pre-실증로 사업 기본개념 수립 및 타당성 분석 용역’을 지난해 연말 완료했다.

용역에서는 예비 실증로 건설을 통한 초고자장 소형 핵융합 실증로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방안, 과학기술적·정책적 타당성 분석,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분석했다.

우선 1단계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 동안은 초고자장 소형 핵융합로 예비 실증로에 대한 개념설계를 진행하고, 핵융합기술센터 설립도 타진키로 했다.

2단계 사업은 2027년부터 2031년까지 5년 동안 진행한다. 예비 실증로 건설을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단계다.

이후 2032년부터 10년 동안 3단계로 예비 실증로 운전을 통한 핵심 기술 확보에 기반한 소형 핵융합 실증로 공학 설계를 진행한다.

총 사업비는 1단계 500억원, 2단계 9250억원으로 총 975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소형 핵융합 실증로 공학 설계를 위한 3단계 사업비는 제외한 수치다.

시는 사업을 통해 인공태양 에너지 장치의 설계·건설·생산·활용 등 전반에 대한 기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노심 설계, 초전도자석, 디버터, 핵융합 재료, 가열 및 전류 구동 등 핵융합 관련 5대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소형 핵융합 실증로 건설 능력을 조기에 구축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핵융합 실증로 소형화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핵융합 핵심 기반 기술 고급화 및 신기술 개발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이번 사업이 성공하면 탄소 중립에 기여하고, 신사업 창출의 기폭제 역할을 하며, 인력 양성 기반 구축에도 도움이 되는 등 기대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1조9794억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와 7174억원 규모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기본개념 수립 용역을 바탕으로 이 사업을 정부 상위 계획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제4차 핵융합 에너지 개발 진흥 기본계획을 통해 2023년을 목표로 전력 생산 실증 핵심 기술 개발 장기 연구개발 로드맵을 작성하고 있다.

시는 울산과 부산, 경남에 핵융합 관련 기업이 다수 위치해 있고, 우수 연구대학도 보유한 만큼 핵융합 산업 발전에 가장 유리한 환경이라는 입장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올해 작성하는 과기부의 로드맵에 국가사업으로 반영시키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공모로 사업이 전환되면 연구 성과가 있는 만큼 다른 지자체보다 경쟁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