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해제에도 울산 소비심리 꽁꽁
2023-02-10 권지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전국적으로 소매판매가 증가한 가운데 울산지역은 광주, 충북에 이어 세번째로 소매판매 감소폭이 컸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소비를 나타내는 지표인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대형마트(-6.1%), 슈퍼·잡화·편의점(-2.4%), 백화점(-4.2%), 전문소매점(-0.6%)에서 감소한 영향이다.
전국적으로는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그러나 전국 소매판매가 5.9% 늘었던 지난 2021년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16개 시·도 가운데 경남(2.3%), 인천(2.2%), 대전(0.1%)을 제외한 13개 시·도에서 전년대비 감소했다. 울산은 광주(-2.4%), 충북(-1.9%)에 이어 세번째로 감소폭이 높았다.
반면 지난해 울산의 서비스업 생산은 부동산(-6.8%) 등에서는 줄었으나 보건·사회복지(6.5%), 숙박·음식점(15.8%), 도소매(2.6%) 등에서 늘어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전국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전년 대비 4.8% 늘면서 2007년(6.7%) 이후 15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16개 시·도 모두 전년 대비 증가했는데 특히 제주(8.6%), 인천(6.8%), 경기(5.8%), 부산(5.5%), 강원(5.5%)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