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1.8% 전망...“상반기에 어려움 집중될 것”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1.8%로 유지했다.
상반기에는 경기둔화가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반기부터 중국경제 반등 영향으로 예상했던 것보다 회복세가 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KDI는 9일 발표한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1.8%로 예상했다. 작년 11월 전망에서 제시했던 것과 같은 수치다. 이는 KDI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상반기 1.4%에서 1.1%로 내리고 하반기 2.1%에서 2.4%로 올린 결과다. 상저하고의 폭이 더 깊어진다는 것이다.
전망 변화의 주된 배경은 중국의 리오프닝이다. KDI는 중국이 경제활동을 재개하면서 단기적으로 감염병의 급속한 확산과 그에 따른 경제 위축을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우리 경제의 수출이 부진하고 소비도 둔화하는 점도 반영됐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가 기존 예상보다 상반기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게 KDI의 전망이다. 반면 하반기에는 리오프닝 이후 중국 경제가 본격 반등하면서 우리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중국인 관광객의 유입 확대가 서비스 수출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올해 총수출(물량 기준)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8%로 올렸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하반기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반등요인은 중국 경제”라며 “중국 경제가 나아지면 물가 상승 압력이 조금 높아질 수 있고 금리도 예상보다 긴축적으로 갈 수 있지만, 여전히 가장 큰 요인이 경기회복이어서 종합적인 영향은 한국경제에 플러스”라고 말했다.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3.2%에서 3.5%로 0.3%p 올렸다. 이는 정부 전망치와 같다.
국제 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높았던 원자재 가격 수준 등이 공공요금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물가 상승률을 올렸다는 설명이다.
정 실장은 “전기료, 공공요금뿐만 아니라 다른 근원물가도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다”며 “그래서 시차 때문에 물가 하락 폭이 국제 유가 등에 비해 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KDI는 향후 위험 요인으로 예상보다 약한 중국 경제의 회복세, 고물가 기조 유지에 따른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국내 부동산 경기 하락이 실물경제에 파급되면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