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미래, 남부권이 달라진다]광역접근성 방점, 거점 중심 개발을
울산시와 울주군이 남부권 신도시 개발을 본격화 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동해선 광역전철과 이예로를 포함한 신국도 7호선을 염두에 두고 중심기능의 역할이 기대되는 거점역을 중심으로 개발을 해야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또한 개발 예정지에 산재해 있는 개발제한구역(GB) 해제 기준 완화 등 정부에 제도 개선 요구를 적극적으로 해야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기존 교통망 염두·거점 중심으로
한삼건 울산대학교 명예교수는 “동해선과 신국도 7호선이 울산의 동쪽과 중앙에서 남북간선 교통축 역할을 시작하고 있어 앞으로 지역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며 “따라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울산 남부권 신도시 개발 방향은 이 두 교통축의 특성과 지역의 잠재력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구체적으로 “남창권은 광역철도를 기반으로 하고, 웅촌권은 승용차를 이용한 광역 접근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며 “공통 과제로는 사업기간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공간적으로는 개발제한구역을 피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동해선의 직접 영향권인 온양읍 발리와 대안리, 서생면 화산리, 온양읍 삼광리 일대가 사업권이 될 수 있다”며 “이들 지역이 동부산관광단지와 해운대 등과 비교해 경쟁력 있는 아이템을 선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남창역을 중심으로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재조정해 역 일대에 대한 집중도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현욱 울산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은 “동해선이 통과하는 모든 역을 대상으로 역세권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효율적이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며 “상대적으로 광역접근성이 높고 향후 중심기능의 역할이 기대되는 거점을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광역거점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는 대표적 역세권 지역으로는 북울산역과 태화강역, 남창역이 꼽혔다. 세 지역 모두 일반철도와 광역전철, KTX-이음의 정착역 가능성이 높은데다 역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할 때 중심 역할이 가능한 곳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제도개선 뒷받침돼야
정 실장은 “남창역 주변은 2035년 울산도시기본계획상 부도심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이라며 “부도심지역으로서의 기능적 전문성을 강화하고, 인근 기장 산업단지의 배후 주거기능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차원의 역세권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신도시 조성 예정지에 산재해 있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기준 완화 등의 제도 개선 요구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 실장은 “울산의 개발제한구역은 일명 비지적(飛地的) 개발로 이어져 개발제한구역 내부의 자연환경은 유지되었으나 개발제한구역 내측(기존 시가지)과 개발제한구역 외측(비도시지역)의 양호한 자연환경 및 녹지의 훼손을 가져왔다”며 “따라서 이러한 GB의 당초 취지와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는 내용을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제기해 울산권 GB의 전면해제, 권한위임, 해제기준 완화 등의 제도 개선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남부권 신도시 조성의 걸림돌로 지적되는 화물철도선로 ‘온산선’ 폐선 문제도 공론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박순동 온양읍주민자치위원장은 “하루 2회 정도 밖에 운행되지 않는 등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는데, 지역 발전을 위해 덕하~온산항선을 활용하고 온산선은 폐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종훈 울산시의원은 “신도시 조성이 단순히 아파트 단지 등 택지 위주가 아닌 차별화 된 콘셉트를 갖고 주민들을 위한 편익시설 등 인프라 조성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통해 타 지역민들이 실질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형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