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탈피 4대 과기원, 개혁논의 착수

2023-02-14     차형석 기자
숙원이던 공공기관 제외가 결정된 4대 과학기술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새로운 과기원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13일 과학기술계 등에 따르면 4대 과기원은 이번 조치로 공공기관 인건비 총액 제한 규제가 사라지며 연봉이 높은 유명 석학을 초빙하는 등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공공기관으로 지정 안 된 한국에너지공대는 지난해 설립 과정에서 교수 봉급을 과기원의 1.5배 이상 주는 유인책을 통해 KAIST와 서울대 등에서 교수들을 잇달아 영입하기도 했다.

다만 4대 과기원 중 예산과 기금 규모가 다른 과기원을 압도하는 KAIST만 경쟁에서 더 유리해지면서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이 조성될 것이란 우려도 나머지 과기원들에서 나온다.

지난 2019년 인공지능(AI)대학원이 KAIST에 처음 설립될 때도 UNIST 교수들이 KAIST로 줄줄이 이동하는 등 연구 환경을 이유로 다른 과기원에서 KAIST로 이직하는 사례가 매년 나오는데, 과기원 간 연봉 경쟁까지 시작되면 이런 현상이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올해 KAIST가 받는 정부출연금은 2291억원으로 GIST(광주과학기술원) 1134억원,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949억원, UNIST(울산과학기술원) 900억원의 2배 이상이다.

UNIST 관계자는 “공공기관 해제로 인해 내부적으로는 기대를 많이 하고 있으며 기회가 될 수도 있다”며 “4대 과기원 간 경쟁 구도로 인해 우려도 있지만 오히려 지자체에 지원 확대를 요청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길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교원 영입방안 등을 놓고 과기원 전체를 만족시킬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인건비 운영 방안 등 운영에 대한 별도 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4대 과기원 총장과 간담회를 열고 관련 사항을 논의하기로 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