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고물가·고금리·인력난 ‘삼중고’

2023-02-15     권지혜
지속되는 고물가, 고금리에 인력난까지 겹치면서 울산지역 중소기업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에서 고용 취약업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여러가지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나 임시방편책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14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정책자금 신청접수는 537건, 신청금액은 2825억3700만원이다.

이에 따라 중진공은 신청 접수한 기업에 대해 일자리 창출, 수출, 혁신성장 분야 등 정책 우선도 평가를 통해 중점 지원한다는 방안이다. 올해 중진공 울산지역본부의 정책자금은 1470여억원이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울산지역본부 관계자는 “정책자금 온라인 상담예약을 시작한지 3일 만에 500여건의 신청이 들어왔다. 지난해와 비교했을때 신청 속도가 두 배 이상 빨라졌다”고 말했다.

지난달 울산지역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치솟는 물가에 울산지역 중소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울산 남구에서 건설업 관련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A씨는 “물가 상승에 자제 매입 대금, 인건비 등 경비는 증가하는데 경기 악화로 매출은 줄면서 회사를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커졌다”며 “고금리로 인한 대출 이자 증가, 전기료 인상 등도 큰 부담이다. 지난달 전기료가 평소보다 5배 더 나왔다”고 토로했다.

여기다 구직자들이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선호하면서 중소기업은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울산 중구에서 물류회사를 운영하는 B씨는 “대기업보다 월급이 적다보니 젊은 친구들이 안오려고 한다. 직원을 뽑아도 쉽게 나가는 경우가 많다. 직원 대부분이 20~30년 차다. 채용공고를 올려도 지원하는 사람이 없어 지인 등으로 인력을 채우는 실정이다”며 “정부에서 여러 방면으로 지원해주고 있지만 지원이 끝나면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기업 자부담만 커진다”고 한탄했다.

인사지원을 담당하는 C씨도 “최저임금 인상에 마진이 줄면서 열정페이로 근무해야하는 상황까지 닥쳤다. 회사에서 신입사원에게 나가지 말아달라고 사정해야하는 수준”이라며 “인력지원 사업의 일자리 미스매칭이 높고 기간이 정해져있다보니 실질적인 도움은 적은 편”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이날 지방 중소기업 등 고용 취약업종의 인력난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구직자와 구인 중소기업 간 일자리를 연결하는 기업인력애로센터를 활용한다고 밝혔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