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글로벌 생태도시의 꿈,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부터]울산시 전담조직 통해 지정절차 나서야
울산은 지난해 환경·생태적 가치와 토지 보전 가치를 의미하는 국토환경성평가에서 전체 행정구역 면적의 50.94%가 1등급 지역으로 조사됐다. 강원도(61.11%)와 대구(52.4%)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1등급 비율이다.
울산은 서쪽으로 가지산, 신불산 등 해발 1000m가 넘는 산들이 밀집한 영남알프스라는 거대한 산림자원과 동쪽으로 진하·일산해수욕장, 강동·주전·정자 해변, 대왕암과 간절곶 등 해안 관광자원이 공존해있다.
또 생태의 강으로 거듭난 태화강을 중심으로 동천, 외황강, 회야강 등 풍부한 하천 경관자원도 있다. 이처럼 차별적이고 우수한 복합 생태계 자원을 가진 울산의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은 시간문제 일뿐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에서 더 나아가 울산의 우수한 생태자원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울산 생물권 보전지역 요건 충족
울산은 산림, 하천, 바다가 공존하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복합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어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을 통해 야생동물의 서식지 보전을 위한 관리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울산의 풍부한 자연자원을 활용한 레크리에이션, 생태관광, 특산품 판매 등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생물권 보전지역의 핵심 기능인 경제와 인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한다는 조언이다.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실제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신청을 위해서 면밀한 사전 조사를 통해 지정 범위를 검토해야 한다”며 “산간 지역을 포함한 도농복합도시의 특성상 울산은 구역별 용도 구분을 충족할 수 있는 요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네스코는 생물권 보전지역이 용도에 따라 핵심구역, 완충구역, 협력구역으로 구분돼야 하며, 각 구역의 고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연구원은 울산 핵심구역의 경우 엄격한 보호가 필요하며 생물 다양성 보전과 간섭을 최소화한 생태계 모니터링이나 조사연구가 가능한 공간으로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이나 야생생물 보호구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등을 추천했다.
완충구역은 핵심지역을 둘러싸고 있거나 생태관광, 환경교육 등이 가능한 공간으로 태화강 일대 또는 영남알프스 주변 지역 등을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협력구역은 농업활동이나 주거지 등으로 이용되는 공간으로 농어촌 지역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 위한 전담조직 구성해야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고 지정 이후 기능을 충실히 실행하기 위해서는 울산시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시는 지난 2016년 경남과 강원에 이어 국내 세번째로 지자체 생물 다양성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국 지자체 최초로 지난 2018년 울산 생물다양성센터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센터에서는 울산의 생물자원 조사, 생물 다양성 목록 구축, 멸종 위기종·생태 교란 생물 관리, 연구개발 및 인력 양성, 시민 교육·홍보, 생태 네트워크 구축·복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연구원은 센터가 지역 환경단체와 생태전문가, 민간단체 등 교류·협력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에 필요한 조직 구성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