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국민 ‘울산시 1금고’ 4년만의 리턴매치 예고

2023-02-17     이춘봉

4조원대에 달하는 울산시 1금고은행 쟁탈전이 4년 만에 리턴매치로 치러질 전망이다. 경남은행이 일찌감치 수성 의지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시중 5대 은행에 대한 과점 체제 해제 의지가 도전자 국민은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16일 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7~8월께 공고를 시작으로 9월께 금고지정심의위원회를 열고 10월 시 1·2금고은행 지정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관심은 일반·특별회계 등을 합쳐 연간 4조2600억원 규모에 달하는 1금고에 모아진다. 계약을 체결하게 되면 4년 동안 시 1금고은행을 담당하게 된다.

지난 2019년 시 금고 지정 당시는 기존 금고은행이었던 경남은행에 국민은행이 도전장을 내밀었고, 경남은행이 승리했다. 올해 시 금고 지정 역시 양자 대결 구도가 유력하다.

경남은행은 일찌감치 수성 의지를 밝히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역 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 방지나 지역 소재 중소기업 육성 측면에서 지역 은행인 경남은행이 계속 시 금고를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전자 입장인 국민은행은 아직 시 금고 지정과 관련해 시와 접촉은 하지 않았지만, 이미 사전 준비 작업에 들어간 걸로 파악된다.

이번 시 금고은행 지정의 변수는 시의 요구에 대한 대응과 정부의 시중 5대 은행에 대한 견제 두 가지로 예상된다.

시 요구와 관련, 김두겸 시장은 지난 연말 경남은행을 겨냥해 시 금고은행을 계속 맡으려면 은행 이름에 울산을 넣어 지역 은행이라는 위치를 명확히 할 것과, 현재 4년 110억원 수준인 협력사업비를 대폭 증액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경남은행의 사명 변경은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빈대인 BNK금융지주 신임 회장의 취임이 3월로 예정돼 있어 현재는 의사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다, 빈 신임 회장 취임 후 공고 시점까지 시일이 촉박해 결론을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경남은행은 4년 110억원인 협력사업비는 증액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일반 세입으로 잡히는 협력사업비보다는 홍보성 효과를 노릴 수 있는 지역공헌사업의 증액이 보다 수월하다는 의사를 보이고 있다.

올해 금고 선정을 마친 서울시의 협력사업비가 기존 3015억원에서 2511억원, 인천시는 1206억원에서 1107억원으로 오히려 줄어든 상황을 감안하면, 경남은행이 적정선의 성의를 보일 경우 수성이 어렵지 않다는 시각이 있다. 반면 국민은행의 투자 의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국민은행에 놓인 숙제인 정부의 시중 5대 은행 과점 체제 해제 의지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느냐다.

정부는 막대한 수익을 내면서도 사회공헌은 저조한 5대 시중은행의 과점 체제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국민은행의 시 금고 진출 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현재 부산·대구·광주 등은 지방 광역시는 모두 지역 은행이 시 금고를 담당하고 있다.

한편 시 금고 평가 항목은 행안부 배점 기준 89점에 시 배점 기준 11점 등 총 100점이다. 정기예금 만기 경과시 적용금리, 수시입출금식 예금 금리, 지역 사회에 대한 기여 실적 등을 따진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