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중심 맞춤형 환경보건 정책 수립
2023-02-24 이춘봉
시는 23일 시청 1별관 3층 회의실에서 ‘울산시 제1차 환경보건계획(2023~2030년) 수립’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김미경 시 환경국장과 김양호 울산대학교병원 교수, 이지호 시 환경보건센터장, 유동기 (사)울산환경기술인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시는 기존 정부 주도의 환경보건 정책에서 벗어나 환경보건법 개정에 맞춰 지역 중심의 환경보건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연구 용역을 진행했다.
용역을 수행한 울산연구원은 ‘시민이 건강한 도시, 안전한 울산’이라는 비전 아래 ‘지역의 환경보건 안전망 구축’과 ‘시민의 환경성 질병부담 완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환경유해인자 감시 및 노출 관리 △환경성 건강 피해 예방 및 대응 △지역 환경보건 기반 강화 △시민 소통·교육 및 정보 제공 강화 등 4대 추진 전략과 10개의 추진 과제, 27개의 세부 과제를 기획됐다. 총 사업비는 332억원으로 추산했다.
추진 과제는 환경 유해인자 조사·감시 체계 구축, 잠재적 유해인자 대비 체계 마련, 생활 환경 유해인자 관리, 화학물질 관리 체계 구축, 민감계층 환경보건 지원 등이다.
추진 과제 이행을 위해 미세 플라스틱 모니터링, 석면 건축물 관리, 맞춤형 빛 공해 관리, 시 환경보건위원회 구성·운영, 건강영향조사 청원 처리 및 사후관리 등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
특히 이번 연구 용역에서는 환경보건 정책 추진 성과 확인을 위해 13개의 ‘울산시 환경보건 지표’를 마련했다. 환경보건 취약 지역 건강영향조사 인원 수, 환경성 질환 예방관리 교육 횟수 등 환경보건 계획의 추진 상황을 수치화해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거 지역이 인접해 있는 울산의 지역 특성에 맞는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환경 유해인자로부터 안전한 환경, 시민 모두가 건강한 도시를 위한 환경보건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최종보고회 후 시 환경보건위원회 심의·의견을 반영해 3월 말 계획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