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원전사고 피난도로 확충 나서

2023-03-07     박재권 기자
자료사진

울산시와 울주군이 원전 사고 발생 시 피난 대피로 확보를 위한 원전 주변지역 도로 인프라 확충을 재추진한다.

6일 시에 따르면 시는 1차 추경 때 광로 3-8호선(남창을 우회해 온양 IC까지 이어지는 왕복 4차선의 광역도로)에 대한 타당성 연구 용역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한 뒤 용역을 진행하기로 했다. 용역 예상 비용은 3억~5억원 정도다.

지난 1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울산을 비롯해 한반도 동남권에 지진이 발생해 지표 파열·변형이 있었던 활성단층이 14개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이 일대는 원자력 발전소와 가스, 정유시설 등 핵심 국가기반 시설이 밀집해 있어 사고 발생 시 다수의 인명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원전 지역 인근에 피난 대피로를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 울산연구원을 통해 광로 3-8호선에 대한 타당성 연구 용역을 진행했다. 용역에서는 대상 노선에 대한 기술적 검토를 통해 2가지 방안이 나왔다. 1안은 울주군 도시계획시설 노선대를 준용하는 것, 2안은 도로 건설로 인한 대절토 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터널 설치를 검토하는 것이다. 비용 추정 결과 1안 노선을 2차로로 건설할 경우 982억원, 4차로로 건설하는 경우 1699억원이 드는 것으로 나왔다. 반면 2안의 경우 2차로로 건설할 경우 1096억원, 4차로로 건설하는 경우 1913억원으로 추정되는 등 구조물 구간이 많아 사업비가 높게 책정됐다. 교통수요분석도 예상 개통연도인 2026년 기준 하루에 788~5933대 수준으로 편익 또한 낮게 추정됐다. 이렇다 보니 B/C가 1에도 미치지 못해 2가지 안 모두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번 용역을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다가설 계획이다. 원전 지역 인근 주민들의 안전이 걸린 문제기 때문에 경제성 논리로 접근해서는 이전 용역 결과와 다를 것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만 경제성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이에 시는 군과 협의해 간절곶 관광단지 개발, 남창역 주변 개발건 등을 용역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용역 결과는 내년 상반기께 나올 예정이다.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시군구 및 지역 정치계 등이 협의체를 구성해 정부와 관련 부처에게 필요성을 요구할 명분이 갖춰질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추경 때 용역 예산 확보가 우선”이라며 “용역 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현재 시는 원전 사고 발생 시 국도 31호선(서생면~온산국가공단), 용연공단 전용도로(신일반산단~청량IC), 부산~포항 고속도로 등을 전용 대피로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