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공장 증가세 둔화…활력 잃는 산업수도 울산

2023-03-13     석현주 기자
지역 주력산업이 침체기를 겪으면서 6%대에 육박했던 울산지역 제조공장 연평균 증가율이 2%대로 뚝 떨어졌다.

반면 충남·충북지역의 경우 수도권 공장입지 및 총량 규제로 공장수요가 늘면서 공장등록 증가율이 울산을 앞질렀다. ‘산업수도 울산’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해 지고 있어 제조업 업황환경 개선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2일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최근 제조업 입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울산에 등록된 제조업 공장 수는 2959개로, 10년 전(2272개) 대비 3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기간 전국 제조공장은 31.2% 늘었고, 충남(54.5%), 대전(53.9%), 전북(52.2%). 충북(51.2%) 등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전국 시·도 가운데 충청권 지역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보고서는 수도권 공장입지 및 총량 규제로 충청권의 공장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수도권 규제가 완화되지 않는 이상 충청권 제조업 공장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수요 지역 개발을 통한 투자 유도 및 난개발 방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울산의 제조업 공장수 증가세는 2016년 이후 크게 둔화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울산에 등록된 제조업 공장 수는 2959개로 전년 대비 2.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내 공장 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증가폭 감소세는 2016년부터 두드러지고 있다.

울산지역 공장수는 2015년까지 매년 3~6% 증가하며 최근 10년간(2012~2021년) 연평균 증가율(2.98%)을 웃돌았다. 특히 조선업 등 지역 주력산업 침체가 시작되기 이전인 2015년에는 1년새 제조업 공장수가 2456개에서 2618개로 6.60% 늘기도 했다.

그런데 2016년(3.51%)부터는 2%대 증가율을 기록했고, 2019년에는 증가율이 0.32%에 그쳤다.

전국 역시 제조업 공장 수가 2015년까지 매년 3~5% 증가하며 최근 10년간(2012~2021년) 연평균 증가율(3.1%)을 웃돌았지만 2016년(2.4%)부터는 주로 2%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확산이 본격화됐던 2020년에는 증가율이 0.6%까지 하락했다. 이는 제조업 성장 둔화로 고용이 감소하고 기업들이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는 사례가 늘면서 국내 제조업 기반이 점차 취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년간 제조업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연평균 2.67%로 직전 10년(6.23%)보다 4%p 가량 낮아졌다. 제조업 생산액과 부가가치도 2012년 이후 성장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제조업의 쇠퇴가 생산과 고용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제조업 공장은 생산뿐 아니라 고용을 창출·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미중 경쟁 심화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대외적인 위협 요인과 인력 부족 문제로 제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