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울산 한국당 유력후보군, 공천티켓 경쟁 모두 불안

영남권 현역 50%이상 교체
공천관리위가 공언한데다
2018년 6·13 지방선거 결과
공천 평가요인 포함 가능성

2020-02-02     김두수 기자
21대 총선과 관련, 자유한국당 울산지역 현역의원·전직 시장·원외 직전 당협위원장 등 유력후보군이 공천티켓에서 모두 ‘불안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어 당사자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이는 당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영남권 현역의원 50% 이상 물갈이를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데다, 전직 광역단체장 출신 인사들에 대한 전략 지역구 투입 방침 그리고 직전 원외당협위원장에 대해서도 연거푸 낙선 또는 본선 경쟁력이 떨어진 예비후보자에 대한 과감한 인적 청산을 예고하는 한편으로 지난 2018년 지방선거 결과가 물갈이의 주요인이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국당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 공천관리위원회(위원장 김형오)는 최근 전체회의를 열고 공천룰 초반 논의 과정에서 권역별 컷오프(공천배제) 비율을 잠정 확정한 것으로 2일 확인됐다.

공관위에 따르면 총선기획단(단장 박완수 사무총장)이 제시한 ‘현역의원 3분의 1 컷오프’ 목표치를 인정하기로 한 공관위가 20대 국회 출범 당시의 의석수(122석)를 기준으로 컷오프를 한다면 40명의 의원이 공천에서 원천 배제된다. 현재 의석수(108석)를 기준으로 한 컷오프 수보다 5명가량 더 잘려 나간다는 계산이다.

여기다 컷오프 비율은 권역별(시도별 할당 가능성)로 실시하기로 돼 있어 현역들이 좌불안석이다.

특히 당의 전통적 강세 지역인 부산·울산·경남(PK)에선 ‘3분의 1’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울산은 3명의 현역의원 가운데 최소 1명은 확실하고, 공천심사과정에서 추가로 1명이 더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역 물갈이 대상에는 지난 2018년 지방선거 결과 현역의원 지역구 기초단체장의 낙선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2일 현역 컷오프 기준과 관련해 “2018년 6·13 지방선거 당시 영남권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무소속 및 더불어민주당에 대거 패배한 데 따른 이 지역 의원들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견해도 당 내부에 있다”면서 “여론조사 및 본선 경쟁력 등 종합점수와 함께 지방선거 결과에 대한 평가도 분명히 따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울산지역 6·13 지방선거 결과 한국당은 시장부터 5개 구·군 기초단체장 모두 낙선했고, 지방의원 의석마저도 대거 민주당에 빼앗겼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2일부터 울산을 포함해 후보 적합도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 지역 6개 선거구 후보자들의 경쟁력 등을 점검하는 실사도 지난 주말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후보들은 공천 심사에서 40%를 차지하는 적합도조사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당원과 주민들에게 전화, 문자메시지, SNS 등을 통해 지지를 당부하는 치열한 홍보전을 펼치는 중이다. 김두수·이왕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