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여야, 교육감 보선 물밑지원 총력전
2023-03-28 김두수 기자
여권인 국민의힘과 야권인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민노당 등은 현행 공직후보자 선거법에 ‘교육감선거 정당개입 불가’ 제한에 따라 공개 지원모드가 아닌, SNS 또는 전화를 통해 ‘투표독려’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정치적 보수당인 국민의힘과, 진보진영인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의 이러한 은밀한 지원배경은 내년 4월 총선과 직간접 관련 있다.
투표권을 가진 울산시민 가운데 보수와 진보진영이 각각 결집력과 투표율에 따라 당락의 변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각각 오는 31일부터 4월1일까지 이틀간 실시되는 사전투표에서 진영간 결집여부에 따라 투표일인 4월5일 당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국민의힘 권명호 시당위원장은 “현재로선 최대한 할 수 있는 방법이 투표독려 밖에 없다”면서 “공직 후보자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최대한 동원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교육감 후보의 교육 정책과 관련해선 ‘우리당’(국힘)에서 뭐라고 할 수 있는 입장이 전혀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뒤 “후보 캠프 자체에서 알아서 판단할 성격”이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선호 시당위원장 역시 “투표독려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우선 31일과 4월1일 이틀간 실시되는 사전투표에 가능한 많은 지지자들이 투표에 참여할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주 울산을 찾아 현장 최고의원회를 개최한 이면에선 교육감 보궐선거 투표 독려와 직간접 연계짓는 정치권 일각의 해석도 있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울산시교육감 보선 결과는 1년 앞으로 다가온 내년 4월 22대총선 민심의 추이를 사전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선거 전문가들은 교육감 보선 투표율이 40~50%대로 높으면 보수색채가 강한 후보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진보색채가 강한 후보가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지역 여야 정치권의 선출직 공직자들의 영향력과 관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현역 국회의원 5명과 울산시장을 비롯한 4개 구군 기초단체장, 시의원 21명, 구군의원 등이 압도하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현역 국회의원 1명에 시의원 1명 기초의원은 소수다. 같은 야당인 진보당은 동구청장이 소속돼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