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16일 시행…EBS연계 체감도 높인다
올해 11월16일 치러질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이과 통합형, EBS 연계율 50%의 큰 틀을 유지하되 EBS 연계 ‘체감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출제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학년도 수능 시험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수능도 지난해와 동일하게 2015 개정교육과정에 맞춰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에서 ‘공통+선택과목’ 체제가 유지된다. 사회·과학탐구 17개 과목 중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수능 원서접수는 8월24일부터 9월8일까지며 재학 중인 고등학교나 출신 고등학교, 관할 시도교육감이 지정하는 장소에 접수하면 된다. 문제·정답 이의신청 기간은 11월16~20일이다. 정답 발표는 11월28일, 성적 통지일은 12월8일이다.
문제 및 정답에 대한 공식적인 이의신청 제도를 운영하며, 구체적인 신청 기간 및 절차와 방법 등은 7월3일 시행세부계획 공고 시 발표한다.
올해 수능은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를 갖춘 문항들로 출제된다. 또 전 영역·과목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되며, 수능이 끝난 후 문항별 성취기준 등 교육과정 근거가 공개될 예정이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율은 50% 수준을 유지한다. 다만,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연계 체감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국어는 ‘독서, 문학’을 공통과목으로 하고 선택과목(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수학은 ‘수학Ⅰ, 수학Ⅱ’를 공통으로 하고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골라 시험을 치르게 된다. 영어는 전체 45문항 중 듣기평가가 17문항이며, 25분 이내로 실시된다.
탐구과목은 사회·과학 계열 구분 없이 17개 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직업탐구 영역은 6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선택과목 5개 중 1개를 선택해 응시한다. 선택 과목이 늘어나더라도 진학하려는 대학이나 학과, 전공에서 요구하는 과목을 골라야 한다.
또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한국사 영역은 필수인 만큼 미응시자는 성적 전체가 무효 처리된다.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분리해 별도 제공한다.
한편 6월 모평은 6월1일, 9월 모평은 9월6일이다. 차형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