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연구원, 태화강국가정원 세부 사업 제안
태화강국가정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만족도 높은 시설 조성’과 ‘공간의 개선 및 안전성 강화’에 관련 정책 수립을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됐다.
울산연구원은 30일 ‘태화강국가정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정보 분석’ 연구 보고서를 통해 방문객 설문 조사 및 만족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박재영 박사는 2021년 열린 세계조경가협회의 ‘아시아 태평양 조경 어워즈’ 수상작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60개 수상작에서 ‘지역 문화와의 융합, 생태 재활, 기후 복원’ 등의 계획과 설계가 진행됐다는 공통점을 도출했다.
또 ‘지속 불가능한 곳의 친환경 전환, 생태 및 식물 환경 복원, 생물 다양성,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 유지’ 등 자연경관과 공간이 어우러진 ‘자연 속 생물 친화 도시공간’ 조성에 핵심을 둔 것으로 분석했다.
2021년 5월부터 2022년 4월까지 태화강국가정원 방문객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봄꽃 행사가 진행되는 5월의 방문객 비중(18.1%)이 가장 높았고, 9월(11.7%)과 10월(12.2%)이 뒤를 이었다. 장소별로는 만남의 광장(동), 십리대숲(오산광장), 만남의 광장(서), 십리대밭교, 작약원 입구 순이었다.
빅데이터 기반의 SNS 분석에서는 십리대숲, 은하수길, 철새공원, 십리대밭교, 대나무숲 등의 방문 빈도가 높았고, 산책, 맛집, 카페, 사진, 여행, 가을, 강변, 은하수, 꽃, 데이트 순으로 태화강국가정원과의 긍정적인 연관어가 제시됐다.
박 박사는 이러한 조사 결과 및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향후 태화강국가정원 관련 정책은 ‘만족도가 높은 시설 조성’과 ‘공간의 개선 및 안전성 강화’를 염두에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올해 착공 계획인 정원지원센터는 미래 정원 문화 육성을 위한 거점 지원센터로 운영해야 하며, 설문을 통해 나타난 방문객들의 체험 및 행사 참여 의지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재영 박사는 태화강국가정원이 하천구역인 만큼 시설 및 설치 등에 제약을 받지만, 설치 가능한 범위 내에서 ‘태화강 액티비티 체험’ ‘세계인의 날 축제 개최’ 등을 세부사업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