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원전사고대피路 규모 키워 추진
울산시가 원전 사고 시 주민 대피를 위해 개설을 추진하는 광로 3-8호선 서생~온양 도로 사업의 규모를 확장하기로 했다. 시는 기존 온양IC 인근까지인 노선을 웅촌 일원 국도 7호선까지 연장해 원전 사고 대피는 물론 물류 수송 극대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국토교통부가 수립하는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2026~2030년)’에 3건의 지역 도로 개설 사업을 반영해 줄 것을 최근 건의했다고 3일 밝혔다.
시는 당초 내년께 국토부가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에 대한 지자체 수요 조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국토부는 2025년까지 제6차 계획을 수립한 뒤 2026년부터 사업화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웠고, 이에 시도 조기 대응에 나섰다.
시가 건의한 사업은 기존 국도를 우회하는 ‘언양~범서(다운) 도로’와 ‘청량~범서(다운) 도로’, 국도와 국도를 잇는 국도 지선 사업인 ‘웅촌~서생 도로’ 등이다.
우선 시는 광로 3-8호선인 서생~온양 도로의 노선을, 온양IC 인근에서 웅촌 일원 국도 7호선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건의했다.
서생~온양 도로는 새울원전이나 고리원전, 온산국가산단 등에서 비상 사고가 발생할 때 대피로를 확충하는 차원에서 개설을 추진 중이다.
시는 서생~온양 도로가 온양IC 인근까지만 연결될 경우 대피 주민이 부산~울산고속도로나 국도 14호선으로 집중, 원활한 대피에 지장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했다. 시는 해당 도로를 웅촌까지 추가 연결할 경우 국도 14호선으로 몰리는 차량을 분산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서생~온양 도로가 웅촌까지 연장되면 중울주와 서울주에서 온산국가산단·에너지융합산단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돼 물류 수송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국토부가 올해 중으로 국도지선 계획을 확정키로 한 만큼 우선 서생~웅촌 도로를 국도지선 계획에 반영한 뒤 자체 타당성 조사 용역을 거쳐 정부의 최상위 도로 계획인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시는 또 경제성 부족으로 미반영됐던 언양~범서(다운) 도로와 청량~범서(다운) 도로도 제6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국도 24호선은 울산 도심과 언양권을 잇는 유일한 도로로 만성적인 정체를 겪고 있다. 시는 선바위 공공주택지구와 태화강변 공공지구, 도심융합특구, KTX역세권 도시개발지구 등의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앞으로 교통 혼잡 가중이 불가피한 만큼 다운2지구에서 언양 직동교차로를 우회하는 언양~범서 도로를 반드시 신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는 또 차량 정체가 심한 신복로터리를 경유하는 국도 14호선을, 율리차고지에서 문수산을 거쳐 다운2지구로 우회 연결하기 위해 청량~범서(다운) 도로 개설도 필요하다고 국토부에 촉구했다.
이상찬 울산시 건설주택국장은 “국도 14호선과 24호선 주변으로 대규모 공공주택지구와 도시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우회도로 개설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국토부에 3개 도로 개설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 제6차 건설 계획에 꼭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