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만명 게놈 데이터 기반, 난치암 진단·치료 새길 연다
2023-04-10 이춘봉
9일 시에 따르면, 시는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맞춤형 진단·치료 상용화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멀티오믹스를 기반으로 무증상 전암이나 암을 최대한 조기에 진단할 수 있게 되면 실질적인 암 생존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현재 1·2세대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접근 가능한 표적 유전자가 전체의 불과 15%에 그치고 있어 난치암에 효과적인 신규 표적 치료 타깃을 발굴할 필요성도 느끼고 있다.
이에 시는 만명 게놈 데이터 등 바이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의료 현장에 접목하는 환자 맞춤형 난치암 예측 및 치료 서비스 상용화 기술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연구 대상 암은 한국인에게 다량 발병하고 전이 가능성이 높은 혈액암과 위암이다.
시는 UNIST 주관 아래 관련 데이터를 다량 확보하고 있고, 권위 있는 연구진도 구축한 을지대병원 및 한림대병원, 제약 바이오기업 등과 함께 사업을 추진한다.
우선 시는 정밀한 예측 및 진단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 멀티오믹스 빅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한 뒤 전암 및 극초기 암을 발견하는 특정 마커를 발굴하고 진단 키트를 개발한다. 이어 난치암 맞춤 현장형 진단·분석 시스템을 개발해 제품화와 연계한다.
시는 신개념 표적 치료제 상용화도 모색하고 있다. 멀티오믹스를 기반으로 한 치료 타깃 선정·효능 예측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 임상 검증·분석 평가 플랫폼까지 구축한 뒤 치료 약물 발굴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표적 치료제 후보 물질을 확보한 뒤 치료 약물의 유효성·안전성을 평가해 제품화까지 진행한다.
시는 빅데이터 생산·분석·검증·활용 등 전 과정에 대한 통합 분석 시스템도 개발한다.
주로 학술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된 빅데이터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정보 기반 개인 맞춤형 질병 관리 서비스 상용화 및 임상 검증을 진행한다.
총 사업비는 380억원이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부처 예산에 연구활동비 및 재료비 등으로 내년도 국비 60억원을 반영해 줄 것을 신청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산업부의 2024년 중기재정계획에 반영되지는 않지만, 산업부의 ‘산업기술 R&D 연구기획 사업’을 추진해 보고서는 확보한 상황”이라며 “부처 예산에 사업비를 반영해 내년부터 사업을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