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 보조금 대상서 빠진 현대차, 발빠른 전략 필요하다

2023-04-19     경상일보

지난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빅3’에 진입한 현대·기아차그룹이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암초를 만났다. 최대 수출텃밭인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빠져 수출 경쟁력하 크게 약화된 데다, 2032년까지 현지 생산 신차의 67%를 전기차로 대체하도록 하는 탄소배출 규제안도 상반기 중 확정될 예정이다. 울산은 물론 한국경제의 버팀목으로 부상한 자동차 산업이 드높아진 미국의 규제장벽에 대응할 수 있는 발빠른 전략이 필요하다.

미국 정부는 17일(현지시간) IRA 세부 지침에 따라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16개 전기차 대상 차종을 발표했는데,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를 배제했다. 엄격해진 배터리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게 이유다. 이에 따라 작년까지 받았던 미 정부의 보조금을 앞으로는 못받게 됐다.

IRA 세부지침에는 올해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라도 △북미에서 제조·조립한 배터리 부품을 50% 이상 사용시 3750달러 △미국이나 FTA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광물의 40% 이상 사용시 3750달러 지급 규정을 담았다.

현대차가 중국에서 생산한 배터리셀을 울산공장에 들여와 배터리의 최종 형태인 배터리팩을 조립한 뒤 미국 앨라배마주 공장에서 적용한 GV70도 이 규정에 걸려 탈락했다. 현대차 울산공장의 대미 전기차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진 것은 물론이다. 자동차는 울산의 최대 수출 효자 품목이다.

또 다른 규제 암초도 대기중이다. 미 정부가 올해 상반기중 2032년까지 현지 생산 판매하는 신차 3대 중 2대는 전기차로 채우도록하는 규제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톱3’ 목표를 세운 현대차그룹은 중국산 부품(배터리 포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전기차 생산 비중을 최대한 빠른 속도로 높여야하는 비상 상황에 처한 것이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완성차 중 전기차 비율은 3.9%에 불과하다.

현대차그룹은 이와 관련,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앨라배마 공장 생산 GV70 배터리를 북미산으로 대체하는 방안과 함께 오는 2025년 완공 예정인 조지아주 전기차 및 배터리 합작 공장 건립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또 보조금을 받을수 있는 리스차량 판매 비중을 30% 이상 수준까지 확대하고, 국내 배터리 업체들과 협업해 IRA 배터리 요건을 맞추는 작업도 계속 추진하겠다고 한다. 격변기를 맞이한 울산 자동차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대응전략을 재점검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