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부산·경남 행정통합 속도감···울산 최선 선택해야

2023-04-20     경상일보

동남권 내 부산과 경남간 ‘2026년 행정통합’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수도권 집중화를 극복하고 지역균형발전을 꾀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두 도시가 서로 힘을 모으고 있다.

반면 울산은 부울경 인구 1000만명의 메가시티 조성을 목표로 한 ‘특별연합’을 탈퇴한 뒤 세 도시간 행정통합 제안도 거부한채 독자노선을 걷고 있다. 울산은 대신 행정구역이 다른 경북 경주·포항시를 포함하는 초광역 경제권(해오름동맹)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인구가 줄어들고, 성장잠재력이 약화되고 있는 울산은 ‘통합’이든 ‘연합·연대’든 하루빨리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해법에 나서야 한다.

부산시와 경남도는 지난 14일 부산·경남 행정통합과 관련, 시·도민 이해 도모와 여론수렴을 위한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두 도시는 지난해 10월 부울경 3개 시도지사가 ‘부울경 특별연합’ 폐지를 결정한 후, 박완수 경남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이 행정통합 추진에 합의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두 도시는 올해 상반기 중 통합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행정통합 토론회(3회)를 열고, 5월과 6월초 여론조사를 실시해 통합 절차를 본격 추진할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한다. 만약 행정통합이 성사되면 ‘인구 660만명, 지역내총생산(GRDP) 200조원’이 넘는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도시가 탄생한다.

이에 반해 울산은 동남 경제권 탈퇴수순을 밟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해 10월 부울경 특별연합이 해체된 이후 “과거처럼 다시 한 가족으로 돌아가자”는 경남과 부산의 행정통합 제안을 뿌리쳤다. 동남권 내 세가 가장 약한 울산의 경제·교육·의료 인프라 등 경쟁력 부족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빨대효과’ 발생을 우려한 선택이다. 울산의 인구 순유출이 가장 많은 곳이 두 도시다. 그렇다고 울산만 독불장군처럼 생존할 수는 없다. 인구 순유출은 가팔라지고 지역경제 활력은 떨어지고 있는게 울산의 현주소다.

울산시는 부울경 메가시티 대안으로 경주·포항을 ‘광역연합’으로 묶어 ‘인구 200만명, 지역내총생산 100조원’의 초광역 경제권역 구축을 꿈꾸고 있다. 부산·경남의 ‘행정통합’보다 정부의 예산지원이나 비용절감, 경제적 효율성, 행정의 책임성 측면에서 크게 불리한 형태다. 향후 광역연합 목표 달성시에도 부산·경남의 행정통합 대비 경쟁력에서 크게 뒤쳐질게 불보듯 뻔하다. 선택과 그에 따른 결과는 울산시민의 몫이다. 지방소멸의 초시계가 가팔라지는 만큼 울산이 져야할 선택의 무게도 무거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