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 달천농공단지 집회 장기화 피해호소
2023-04-20 정혜윤 기자
19일 오후 1시께 찾은 달천농공단지 내 A 업체 앞. 화물연대 노조원 500명이 대규모 집회가 열리면서 현장은 아수라장이다.
A 업체 앞 왕복 2차선 도로는 시위차량과 버스들로 차량 한대만 겨우 통행할 수 있을 정도였으며, 인파로 단지 내 사거리에서도 차량 교행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경찰 100여명이 배치돼 교통 정리와 집회 질서 정리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이같은 소음 및 교통불편이 2주 가량 이어지며, 농공단지 내 입주한 다른 기업들은 업무에 차질이 극심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B 기업은 “경찰이 있을 때는 데시벨을 낮췄다가 경찰이 가면 소리를 갑자기 키우는 행위도 다반사일뿐더러, 차량 통행이 1차선밖에 안돼 교통마비로 물류수송도 늦어지는 등 피해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일대 다른 업체 2곳도 집회 소음 등으로 업무에 지장 겪고 있다며 빠른 교섭 등 해결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A 업체를 상대로 한 집회는 지난 3월 중순부터 이어지고 있다. 50여명 가량으로 진행하다 지난 17일부터는 200~3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연대 소속 한 화물차주가 A 업체와 재계약하는 과정에서 물가상승분을 동반한 임금 인상을 요구했으나 A 업체에서 이를 수용해주지 않고 있어 운송료 인상 및 성실 교섭을 촉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A 업체도 협상에 응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A 업체 관계자는 “임금 협상은 당사자와 진행해야 하는데 화물연대가 나서서 진행하고 있어 기업에서는 이에 응할 수 없다”며 “임금 인상분도 지나치게 높게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입장차로 집회가 장기화되면서 소음 및 교통체증 피해 민원도 북구청과 경찰 측으로도 지속 접수되고 있다.
북구 관계자는 “구청으로도 피해 호소하는 민원이 접수돼, 경찰과 함께 현장에 나가면 소음 규정 등을 지키고 있어 별도 제지 수단이 없다”며 “현재 주요 지점에 경찰을 고정 배치해 지속적으로 소음을 측정하는 등 일대 피해 최소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정혜윤기자